뷰페이지

꿈과 희망을 담은 구두 7만켤레?한 팔이 없는 남궁정부 씨가 커보이는 이유

꿈과 희망을 담은 구두 7만켤레?한 팔이 없는 남궁정부 씨가 커보이는 이유

입력 2011-06-17 00:00
업데이트 2011-06-17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말 이 일 하길 잘한 것 같습니다.”

 

17년의 세월을 이렇듯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리하기는 쉽지 않은데 그는 그랬다.

 

서울 강동구 천호동에 있는 세창정형제화연구소의 남궁정부(71) 소장은 12살 때부터 구두 만드는 일을 해오며 수제화 제작으로 일가를 이뤘다. 그러다 지난 1995년에 지하철 사고로 오른팔을 잃었다. 구두장이로서 가장 중요한 팔을 잃어 낙심하던 그는 우연히 장애인 구두를 만들어보라는 권유를 받고 이 길에 뛰어들었다.

 

장애인 아들의 교정용 구두를 만든 것을 시작으로 한 팔로 작업하는 일에 익숙해지는 데 5년이 걸렸다. 지금은 당뇨로 발의 일부를 잘라낸 사람, 뇌병변 장애자, 평발이나 류머티즘 환자 등에게 ‘세상에 하나뿐인 구두’를 만들어 건네는 일을 하고 있다.

 

남궁 소장은 17일 오후 케이블 채널 서울신문STV를 통해 방영된 ‘TV 쏙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오른팔이 없는 게 아니라 오른팔만 없는 것 아닌가 생각하며 시작한 일이 어느덧 17년이 됐다.”며 “전국 각지는 물론, 멀리 외국에서까지 손님이 찾아오고 고객들이 감사의 뜻을 담아 편지나 특산품, 선물 등을 보내올 때 커다란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장애인 구두는 장애나 기형의 정도와 형태에 맞춰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생산량도 많지 않고 작업도 더디다. 직원 17명이 일하는 이 연구소에서 하루에 만들 수 있는 구두는 12켤레뿐이다.

 

남궁 소장은 “처음엔 아내가 식당일을 해서 번 돈과 남에게 빌린 돈으로 생계도 꾸리고 직원들 월급도 주느라 힘들기 짝이 없었다.”며 “그래도 이제는 직원들 월급은 겨우 주는 수준이지만 돈보다 보람 때문에라도 이 일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그의 손을 거쳐 간 구두는 모두 7만 켤레로 추정된다. 그의 손길이 닿은 신이 있었기에 뇌병변을 앓았던 소녀가 제대로 걸어 웨딩마치를 할 수 있었고, 기형적으로 발이 커 단 한 번도 신발을 신어본 적이 없는 사내에게도 걷는 기쁨을 선사할 수 있었다.

 

그는 “오래전부터 장애인에게 구두 제작 기술을 가르쳐 자립시키는 양성소를 만들고 싶었는데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아쉬워한 뒤 “장애인이 구입하는 신발에 대한 의료보험 혜택이 2년에 한 켤레밖에 되지 않는데 1년에 한 켤레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