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구제역 후폭풍 위기의 축산농] “3개월새 손해 2억원… 멀쩡한 소도 못파니 어떡하나요”

[구제역 후폭풍 위기의 축산농] “3개월새 손해 2억원… 멀쩡한 소도 못파니 어떡하나요”

입력 2011-04-18 00:00
업데이트 2011-04-1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우 사육 농가들의 한숨

“아니, 현장 매뉴얼을 따랐더니 이제 와서 그리한 근거를 대라니요. 자기네들이 확산방지 노력을 제대로 못해서 이리된 걸 왜 힘없는 농가에 뒤집어씌웁니까.”(경북 안동 한우농) “3개월간 손해가 얼마인 줄 압니까. 2억원이에요, 2억원. 팔아야 하는 소가 150마리인데, 하나도 못 내놨습니다. 혈청 검사해서 안전한 걸로 나오면 팔게 해 준다더니 전화도 안 받아요. 우리는 어떡하라고요.”(경기 안성 육우농)

이미지 확대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소는 15만여마리. 돼지의 30분의1 정도지만 농가의 속앓이는 ‘그나마 낫다’는 말도 꺼내기조차 힘들다.

●“한우값 고작 20% 하락했다고?”

경기도 안성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별빛농장. 소독약에 운동화를 담갔다 꺼내고 우주복처럼 생긴 회색 방역복을 덧입고서야 농장에 들어갈 수 있었다. 여전히 방역에 신경쓰는 건지 묻자 김창구(56) 농장주는 “구제역이 나기 전부터 이렇게 했다.”고 답했다.

이 농장에서는 소 120마리를 키운다. 한 마리의 공간이 평균 16㎡정도. 처음부터 이렇게 방역을 철저히 하고 사육 공간이 여유로워 구제역 피해를 덜 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김씨의 한숨은 그치지 않았다. 소를 묻은 일은 없었지만 구제역 후폭풍을 맞은 탓이다. 가장 큰 문제는 소값 하락. 750~800㎏짜리 한우가 구제역 발생 전보다 20% 정도 떨어진 600만~650만원에 팔린다. 송아지를 키워 우시장에 팔기까지 2년 동안 평균 사료값이 350만원 든다. 송아지를 270만원에 사들였다니 얼추 계산해도 인건비조차 빼기 힘들다.

전북 정읍에서 한우농장을 하는 박승술(54)씨 사정도 마찬가지. “5~10% 오른 사료값을 따지면 팔아야 하는데 떨어진 소값 생각하면 못 팔아요. 한우값이 고작 20% 하락했다고요? 사료값, 인건비는 왜 안 따지는데요? 우리 체감 하락률은 절반 이하예요.”




width=400” height=345” name=V000493328” allowScriptAccess=always”

allowFullScreen=true” quality=high”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살처분 지침 따랐는데 왜…”

경북 안동에서 한우를 키우는 조득래(44)씨는 구제역 발생 초기에 100마리 중 43마리를 묻었다. 확산을 막는 예방적 살처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나온 정부의 보상 기준에 분통을 터뜨렸다. 48개월령 암소 한우(번식우)의 평균 체중이 357㎏으로 산정된 것을 예로 들며 조씨는 “이건 10년 전 기준이고, 요즘은 못해도 2배는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동제한이 풀려 부분적으로 가축을 출하할 수 있게 됐지만 여파는 여전하다. 안성에서 육우 240마리를 키우는 곽근원(53)씨는 150마리를 석달째 출하하지 못하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우시장에 내놓으려고 했지만, 안전성 검사를 먼저 해야 한답니다. 열흘 전에 혈청 검사를 해가더니 지금껏 감감무소식이에요. 한우·육우 출하는 막아 놓으면서 미국, 캐나다산 수입 물량은 늘리겠다는 게 이 정부입니다. 우리 축산 농가를 다 죽일 참인가요?”

●“선진화 방안? 현장은 봤나?”

정부의 축산 선진화 방안에 대해 물었다. 돌아오는 대답은 한결같았다. “이번 살처분 보상 기준만 보더라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요. 현장을 모르는데 무슨….”

김창구씨는 “지금까지 나온 것만 보면 안성에 있는 1000여곳의 농가 중 200여곳 정도만 이 조건을 수용할 수 있다. 대부분 영세해서 선진화 방안을 도입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고개를 저었다.

취재 도중 만난 한 농장주의 말이 귓가에 맴돈다. 그는 ‘3대 원죄(寃罪)’가 생겼다고 했다. “살아있는 소를 묻은 죄, 소비자들에게 본의 아닌 피해를 준 죄, 소를 토양에 묻어 후세에게 피해를 준 죄입니다. 이건 씻어낼 길이 없어요.”

안성 최여경기자·성민수PD kid@seoul.co.kr
2011-04-18 4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