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법상 찬양·고무 등 적용 가능 판단

보안법상 찬양·고무 등 적용 가능 판단

입력 2010-08-20 00:00
업데이트 2010-08-20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정보원과 검찰과 경찰은 20일 무단 방북했다가 70일 만에 귀환한 한상렬 목사를 서울 홍제동 경찰청 보안분실로 연행해 방북 경위와 목적,북한에서의 행적 등을 집중 조사키로 했다.

 현재까지 드러난 한 목사의 북한 내 행적으로 볼 때 공안당국은 국가보안법상 세 가지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한 목사의 기자회견 내용이 국가보안법상 찬양·고무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이 당국의 판단이다.

 한 목사는 지난 6월22일 평양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천안함 사태’의 책임은 우리 측 정부에 있다는 취지로 발언하면서 북한 체제를 찬양하고 북한측 인사들과 함께 평양과 판문점 등을 수 차례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보안법 제7조 찬양·고무 조항은 국가의 존립·안전이나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를 위태롭게 한다는 사정을 알면서 반국가단체 활동을 찬양하거나 동조하면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당국은 또 한 목사가 방북 이후 평양의 사적지와 학교,판문점 등을 돌아다니고 현지 교회에서 예배를 하면서 북한측 관계자들과 무단 접촉했다는 점에서 국가보안법상 회합·통신 혐의도 적용할 수 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한 목사는 귀환 직전인 19일 만수대의사당에서 북한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안경호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위원장 등과 만나 환담을 나눴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검찰 등은 한 목사가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고 밀입북했다는 점에서 국가보안법 제6조 잠입·탈출 혐의로도 한 목사에 대한 사법처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국가보안법 6조 1항은 ‘반국가 단체의 지배 하에 있는 지역으로 잠입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돼 있다.

 공안당국의 한 관계자는 “한 목사의 방북은 명백한 공안사건”이라며 “한 목사가 어떻게 북한에 들어가서 무슨 발언을 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그런 활동 전체를 이적활동으로 볼 수 있느냐를 따져볼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