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8년째 대학순위 1위…서울대 101~150위권”

“하버드 8년째 대학순위 1위…서울대 101~150위권”

입력 2010-08-13 00:00
업데이트 2010-08-13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하버드대가 세계대학 순위조사에서 8년 연속 1위 자리를 고수했다.

 우리나라 대학들 가운데 가장 순위가 높은 서울대는 101~150위권을 기록했다.

 13일 중국 자오퉁(交通)대학이 홈페이지(www.arwu.org)를 통해 발표한 세계 500대 대학 순위에 따르면 하버드대가 1위를 차지했다.

 자오퉁대는 2003년부터 전 세계 우수 대학의 순위를 매겨 왔는데 하버드는 첫해부터 한번도 선두 자리를 내놓지 않았다.

 이어 UC버클리대와 스탠퍼드대,MIT가 2∼4위를 차지하는 등 미국 대학 54곳이 100위권 안에 드는 강세를 보였다.

 유럽 대학으로는 케임브리지대와 옥스퍼드대가 각각 5위와 10위에 올랐고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소가 24위,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학이 39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20위로 아시아권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른 도쿄대를 비롯해 쿄토대(24위),오사카대(75위),나고야대(79위),도호쿠대(84) 등 5개 대학이 100위권에 드는 등 25개 대학이나 500위 안에 선정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가 101∼150위권에 속했고 KAIST,고려대,연세대가 201∼300위,한양대,포스텍(포항공과대),성균관대가 301∼400위,경희대,경북대,부산대가 401∼500위에 드는 등 모두 10개 대학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서울대는 작년 조사때 151∼200위권에 속했는데 올해는 다소 순위가 오른 것이다.

 중국은 양대 명문인 칭화대와 베이징대가 151∼200위권에 그치긴 했지만 푸단대,난징대,저장대,산둥대 등 모두 22개 대학이 500위권 대학으로 선정됐다.

 자우퉁대는 교수와 동문 중 노벨상 및 필즈상 수상자 수,높은 피인용 연구 실적을 가진 교수진의 규모,네이처나 사이언스지에 개재된 교수진의 논문 양 등을 종합해 순위를 매기고 있는데 이공계 분야 실적이 높게 반영되다 보니 인문계 분야가 강한 유럽 대학들은 이런 선정 방식에 불만을 품고 있기도 하다.

 

상하이=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