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만한 뱅킹 애플리케이션이 5억!

손톱만한 뱅킹 애플리케이션이 5억!

입력 2010-05-04 00:00
업데이트 2010-05-0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톱만 하다고 무시 마세요. 이래 봬도 5억원짜리입니다.”

스마트폰 열풍에 금융권이 저마다 수십억원까지 개발비를 투자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무료로 시장에 내놓고 있다.

3일 은행과 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폰뱅킹 서비스를 내놓은 A은행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은 10억원 정도다. 이중 프로그램 개발에 든 비용은 약 5억원이다. 보통 사무나 정보조회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이 5000만원 미만임을 생각하면 10배 이상 비싼 셈이다. 증권·카드업계의 경우도 평균 1억~3억원을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억대의 돈이 들어가는 가장 큰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에는 금융거래 때 오가는 개인 정보를 해킹과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할 보안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 인터넷뱅킹과 같다고 보면 된다. 보안업체 관계자는 “안철수연구소 같은 보안업체와 전자결제솔루션업체가 제공하는 공인인증서, 키보드보안, 백신제품 등의 가격은 수천만원에 이르는데 이 가격이 개발 단가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큰돈 들여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고객들에게 무료 개방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용자 증가가 곧 매출 증가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하는 젊은 고객을 잡는다는 의미도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시장이 올 연말까지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지금 고객을 확보해 두면 1~2년 뒤에는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때문에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갖은 수단이 동원된다. 동양종금증권, KB투자증권 등은 2년 거래를 약정한 고객에게 스마트폰 단말기 할부금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10만원 이상 거래한 고객 1만명에게 통신비 3만 5000원을 제공한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달 말 스마트폰 주식거래 수수료를 업계 최저수준인 0.015%로 인하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5-04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