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노벨상’ 아벨상에 美수학자 테이트

‘수학노벨상’ 아벨상에 美수학자 테이트

입력 2010-03-26 00:00
업데이트 2010-03-2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수론’의 최고 권위자

노르웨이 학술원의 아벨위원회는 24일(현지시간) 수학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의 올해 수상자로 미국의 원로 수학자인 존 토렌스 테이트(85) 전 텍사스대 교수를 선정했다.

이미지 확대
美 수학자 존 토렌스 테이트 AP=연합뉴스
美 수학자 존 토렌스 테이트
AP=연합뉴스


심사위원단은 테이트 전 교수가 현대 컴퓨터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학 분야인 정수론(整數論)의 ‘최고 건축가’라고 소개하면서 “정수의 신비에서부터 현대 컴퓨터에 정보를 저장, 전송, 보호하는 방법들에 이르기까지 큰 공로를 세웠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심사위원단은 또 “ 테이트 교수의 날카로운 연구와 깊은 통찰력이 있었기에 많은 수학 이론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테이트 전 교수는 1950년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콜럼비아대와 하버드대를 거쳐 1990년부터 텍사스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지난해 은퇴했다.

테이트 모듈, 테이트 커브, 테이트 사이클 등 다양한 수학 개념들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기도 했다.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수상 소식을 전해들은 그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매우 운이 좋았다.”며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5월 25일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는 600만크로네(약 11억 34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아벨상은 26세에 요절한 노르웨이 최고 수학자 닐스 헨릭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노르웨이 정부가 2002년 제정했으며, 매년 5명의 수학자로 이루어진 국제 심사위원회가 수상자를 선정한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03-26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