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태풍’ 5월 중순까지 몰려온다

‘황사태풍’ 5월 중순까지 몰려온다

입력 2010-03-22 00:00
업데이트 2010-03-22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드라마틱했다.” 20일 한반도를 덮친 ‘먼지덩어리’를 두고 기상청 관계자는 이렇게 표현했다. 2002년 황사특보가 운영된 이래 가장 센 황사였다. 이 같은 황사는 5월 중순까지 주기적으로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황사태풍’이 시작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기상관측 이래 처음으로 황사경보가 발령될 만큼 최악의 황사가 덮친 20일 오후 누런먼지로 가득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찰관이 마스크를 쓰고 근무하고 있다(왼쪽). 21일 오후 황사가 걷히자 광화문광장 뒤로 북악산이 제모습을 드러냈다. 김태웅 수습기자 tuu@seoul.co.kr 연합뉴스
기상관측 이래 처음으로 황사경보가 발령될 만큼 최악의 황사가 덮친 20일 오후 누런먼지로 가득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찰관이 마스크를 쓰고 근무하고 있다(왼쪽). 21일 오후 황사가 걷히자 광화문광장 뒤로 북악산이 제모습을 드러냈다.
김태웅 수습기자 tuu@seoul.co.kr 연합뉴스
기상청은 자연환경 요인을 최악의 황사 원인으로 꼽았다. 우선 지구온난화로 고비사막과 내몽골, 황토고원 등 중국의 건조지대가 확대됐다는 점을 주목한다. 황사발원지가 커졌다는 것이다.

특히 2월 말부터 고온대가 형성돼 황사 발원지의 눈을 녹였고, 발원지 주변에 저온의 강풍대가 형성돼 먼지를 공중으로 끌고 올라가는 힘이 세진 점이 1차적 원인이다. 여기에 강한 남서풍과 북서풍이 황사를 한반도로 밀어내는 작용을 했다. 특히 많은 양은 아니지만 최근 우리나라에 주기적으로 비가 내리면서 중국 대륙의 남서풍과 북서풍을 빨아들이는 ‘바람길’을 형성한 것도 먼지폭풍을 몰고 온 원인이다. 바람길은 일종의 선풍기 바람 같은 현상으로, 황사먼지가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똘똘 뭉쳐 들어오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5월 중순까지는 예전에 좀처럼 경험하지 못했던 짙은 황사가 주기적으로 몰려 올 것”이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개인 위생은 말할 것도 없고,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분석했다. 우선 황사 미세먼지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반도체·정밀기계 등 첨단업종의 피해를 우려했다. 공장에서 아무리 청정을 유지해도 외부 공기에 따라 불량률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정기능 강화와 공정 조정 등을 당부했다.

한편 20일 전국에 내려졌던 황사 특보는 21일 모두 해제됐지만 옅은 황사와 연무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황사보다 입자가 10분의1 수준으로 작고 남동해안에 집중된 중국 공업지역에서 날라오는 연무는 폐 속 깊이 들어갈 수 있어 건강에는 더 좋지 않다.”면서 “황사주의보 수준만큼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주말 전국을 강타한 황사는 기상청이 미세먼지 농도(PM10)를 측정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짙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오후 7시20분과 25분 흑산도의 지름 10㎛ 이하 PM10은 사상 최고인 2847㎍/㎥에 달했고, 오후 8시 기준 1시간 평균 PM10 역시 최고치인 2712㎍/㎥였다. 평일 같았으면 휴교령을 내렸어야 한다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안석 최재헌기자 ccto@seoul.co.kr
2010-03-22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