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욱 서강대 교수팀… 각종 질병진단 기여 기대
한 개의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화하는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연구성과는 세포내에 포함된 중요 화학물질이 어디에, 얼마나 존재하는지 알려줘 여태껏 관찰하지 못한 생화학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돼 각종 질병 진단과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세포에 형광 단백질을 투입해 현상들을 관찰해 왔는데 지난해엔 개발자가 노벨화학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형광단백질은 지속시간이 짧고, 감도가 낮으며 세포에 독성까지 유발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강 교수팀은 금 나노입자를 통해 입자 주변 화학물질로 에너지 이동이 일어나는 것을 최초로 발견, 이 원리를 이용해 세포내에 금 나노입자 인공위성을 삽입한 후 에너지 이동현상을 관찰하면서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9월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현재 미국 특허 출원 중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09-09-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