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뿌리 부정하나”… 文 육사 ‘독립군 흉상’ 이전 비판

“국군 뿌리 부정하나”… 文 육사 ‘독립군 흉상’ 이전 비판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3-08-28 06:37
업데이트 2023-08-28 0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앞에 독립운동가 홍범도(왼쪽부터), 지청천, 이회영, 이범석, 김좌진 5인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앞에 독립운동가 홍범도(왼쪽부터), 지청천, 이회영, 이범석, 김좌진 5인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육군사관학교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육사) 내 독립군 등 흉상 이전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문재인 전 대통령은 “우리 국군의 뿌리가 대한독립군과 광복군에 있음을 부정하는 건가”라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27일 페이스북에 “육사 교정 항일무장 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 철거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했다.

육사는 현재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 설치돼 있는 독립운동가 흉상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전 대상에는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과 이회영 선생 흉상 등도 포함돼 있다.

문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뿌리가 임시정부에 있듯이 우리 국군의 뿌리도 대한독립군과 광복군에 있음을 부정하는 건가”라며 “국권을 잃고 만주로, 연해주로, 중앙아시아로 떠돌며 풍찬노숙했던 항일무장 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이 오늘 대한민국에서도 이리저리 떠돌아야겠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것이 그분들에 대한 우리의 예우이며 보훈인가”라고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여론을 듣고 재고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니 부디 숙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해당 흉상들은 문재인 정권 당시였던 2018년, 제99주년 3·1절을 맞아 우리 군 장병이 썼던 5.56㎜ 소총 5만 발 분량의 탄피 300㎏을 녹여 제작했다.

일제강점기 실탄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황에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 등에서 일본군을 대파한 독립군 선배들의 정신을 기린다는 취지다.

그러나 국방부 측은 봉오동 전투를 이끈 홍범도 장군이 1927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전력이 있는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27일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독립 영웅 다섯 분의 흉상을 없애고 그 자리에 백선엽 장군의 흉상으로 대체한다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흉상을 옮길 곳이 없어서 독립기념관의 수장고 한 귀퉁이에 넣게 된다면 차라리 파손하여 흔적을 남기지 말기를 바란다”고 했다.
문경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