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베이징 도착 당일 보도… 김정은, 체제 자신감 드러내

北, 베이징 도착 당일 보도… 김정은, 체제 자신감 드러내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1-09 01:56
수정 2019-01-09 0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 매체들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사실을 베이징 도착 당일인 8일 보도했다. 지난 방중 때와 달리 이례적인 신속한 보도로 김 위원장의 평양 부재를 사전에 대내적으로 알린 셈이다. 이는 김 위원장이 체제 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북·중 정상회담 사전 예고도 처음

북한 대내용 라디오 매체인 조선중앙방송은 8일 오전 8시 김 위원장이 7~10일 중국을 방문하고자 평양을 출발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도 비슷한 시간에 김 위원장의 4차 방중 사실을 전했고, 노동신문도 이날 1면에 김 위원장이 부인 리설주 여사와 평양에서 출발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과 함께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거듭되면서 북한 매체의 방중 보도 시점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6월 19~20일 3차 방중 때는 김 위원장이 베이징의 마지막 날 일정을 소화하던 20일 오전에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방중 사실을 알렸다.

지난해 5월 7~8일 김 위원장이 랴오닝성 다롄을 찾아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2차 방중 때는 김 위원장의 전용기가 다롄에서 출발한 8일 오후 늦게 조선중앙통신이 방중 사실을 보도했다. 노동신문은 그 다음날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지난해 3월 25~28일 1차 방중 때도 김 위원장이 베이징을 떠난 다음날인 28일 북한 매체들이 관련 사실을 전했다.통일부 관계자는 “1·2·3차와 달리 이번에는 도착하는 날 보도가 나와 이전과 특이하다고 생각한다”며 “또 북·중 정상회담을 사전에 예고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金 35번째 생일 겹쳐… 中 이벤트 관측도

김 위원장은 자신의 35번째 생일을 중국에서 맞게 됐다. 김 위원장은 1984년 1월 8일생으로 알려졌으나 북한은 올해도 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았다. 시 주석이 지난 김 위원장의 1차 방중 때 환영 만찬과 환송 오찬을 주재하며 극진히 환대한 만큼 김 위원장의 생일이 겹친 이번 방중 기간에 김 위원장을 위한 특별 자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1-0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