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女와 직접 결혼해 살아보니 이런 일들이…

탈북女와 직접 결혼해 살아보니 이런 일들이…

입력 2014-03-27 00:00
업데이트 2014-03-31 15: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운동화만 신고” “필요없는 전기는 끄고”…탈북자들의 절약상

자유를 찾아 남한으로 넘어오는 북한 주민이 늘면서 국내에도 탈북여성과 결혼하는 남자들이 차츰 늘고 있다. 전혀 다른 체제와 여건 하에서 살아온 남녀들인 만큼 함께 살게 되면 서로에 대해 놀라게 되는 부분이 적지 않을 터. 그 중에 하나가 탈북여성들의 놀라운 절약정신이다.

탈북여성 박영미씨는 집에 있을 때 필요없는 전기는 반드시 끈다. 박씨는 “북한에 살던 시절 등잔불을 켜고 책을 보다가 가끔 전기가 들어와서 환해지면 가슴이 뛸 정도로 기뻤다”면서 “전기의 고마움을 알기 때문에 지금도 아끼며 쓰고 있다”고 말했다.

탈북자 인터넷 신문 뉴포커스(www.newfocus.co.kr)는 최근 남한에 내려와 정착한 탈북자들의 몸에 밴 절약 실천을 기사로 소개했다. 북한에서 전기, 물품 등 워낙 심각한 생활고를 경험했기 때문에 남한 사람들의 낭비벽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기사다.

뉴포커스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주일에 한 번만 버린다. 남한사람들은 물자가 풍부해서 그런지 음식을 쉽게 사고 쉽게 버린다. 북한에서 생활할 때 음식을 아끼던 것이 버릇이 돼서 지금도 음식을 대할 때는 조심스럽다”는 탈북여성 이정숙씨의 말을 전했다.

탈북여성 김혜연씨와 결혼한 한국인 A씨는 외출할 때 구두보다 운동화를 즐겨 신는다. 그는 “아내가 가까운 거리는 걸어서 다니기를 원해서 바쁘지 않을 때는 2~3 정거장 정도의 거리는 걷기 때문”이라면서 “처음에는 아내가 운동 삼아 그런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차비를 아끼기 위해서 그런 것이었다”고 말했다.

뉴포커스는 “대부분의 탈북자가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절약을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그들을 통해 절약정신을 다시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면서 “탈북자를 통해 얻는 가르침은 작은 것도 귀하게 여길 줄 아는 인간의 미덕”이라고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