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들이 본 대선공약] “투표할 것만 강조하지 말고 20대도 정치개혁 주체로 봐달라”

[유권자들이 본 대선공약] “투표할 것만 강조하지 말고 20대도 정치개혁 주체로 봐달라”

입력 2012-12-11 00:00
업데이트 2012-12-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생들의 ‘일성’

대학생들은 이번 대선에서 20대가 여야 후보들의 표심 경쟁에서 ‘도구화’되고 있는 것 같다며 씁쓸해했다. “20대를 위한 공약에 인색한 대선 후보들이 20대에게 투표할 것을 강조하며 표만 가져가겠다고 벼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희오씨는 10일 “대선 후보들이 정치 개혁과 쇄신을 말하면서 정작 20대에게는 ‘투표하는 유권자가 되라’고만 하며 수동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후보들이 20대를 정치 개혁의 능동적 주체로 봐주고 20대의 권리를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줬으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대학생들은 “말로는 대선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실제로는 투표를 하지 않는 것이 20대의 가장 큰 문제”라는 기성세대의 비판적인 시각에 대해서도 당당하게 반론을 폈다.

한림대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순영(23·여)씨는 “대학생은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실거주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학에서는 부재자 투표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투표 시간 연장이 이뤄지지 않은 점도 안타깝다.”면서 “20대 투표율이 낮은 이유는 투표를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못 하기 때문”이라고 항변했다.

이나라씨는 “반값 등록금 타령만 하는데 그것만 해결해 준다고 우리가 뽑아주는 줄 아느냐. 화려한 공약으로 대학생들을 현혹하려 했다가는 큰 코 다칠 것”이라면서 “20대 표심을 이번 대선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봤다면 지금이라도 제대로 된 공약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인터뷰에 참가한 대학생들은 이번 대선에 저마다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황지용씨는 이번 대선을 ‘꿈’에 비유했다.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자신의 꿈을 펼칠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희오씨는 대선을 ‘예능’이라고 표현했다. 가수 임재범의 노래 ‘너를 위해’라는 곡을 TV 토론에 빗대 “‘정희’의 거친 생각과 불안한 ‘근혜’와 그걸 지켜보는 ‘재인’ 그건 아마도 전쟁 같은 토론”이라고 개사한 것처럼 대선과 관련된 패러디물이 흥미롭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나라씨는 이번 대선을 ‘시범 경기’에 빗대 설명했다. 프로야구 시범경기로 그해 팀 전력을 가늠해 볼 수 있듯 대한민국 향후 5년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로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한정엽씨는 대선을 ‘수술’이라고 정의했다. “망가져 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 대한 대대적인 치료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12-1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