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회담’ 한중 해빙무드 기대… 시진핑 방한 거론될까

‘서울 회담’ 한중 해빙무드 기대… 시진핑 방한 거론될까

허백윤 기자
허백윤, 이민영 기자
입력 2024-05-23 23:54
업데이트 2024-05-24 0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일 밀착 속 ‘베팅’ 발언에 냉랭
신냉전에 양국 소통 강화엔 공감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도네시아 발리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2.11.15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도네시아 발리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2.11.15 연합뉴스
4년 5개월 만에 열리는 한일중 정상회의가 3국 협력뿐 아니라 특히 한중 관계를 한층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지 관심을 끈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일중 정상회의에 앞서 오는 26일 리창 중국 총리와 회담한다. 리 총리의 방한은 지난해 총리 취임 이후 처음이다.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전략적 소통 증진, 경제통상 협력 확대와 중국 내 우호적 투자 환경 조성, 인적 문화교류 촉진,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글로벌 현안에 관해 협력을 논의한다.

윤석열 정부 이후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구도가 강화하면서 한중 관계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졌다. 게다가 윤 대통령의 대만 관련 발언과 싱하이밍 주한주중대사의 ‘베팅’ 발언 등으로 양국 간 신경전은 격화됐다. 지난해 9월 윤 대통령과 리 총리, 한덕수 국무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각각 면담하며 정상급 교류를 이어 가긴 했지만 양국 간 거리는 뚜렷했다.

다만 지난 3월 중국의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4월 한국 총선 등 양국의 주요 정치 일정이 마무리된 뒤 한중 모두 양국 간 소통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2014년 이후 이뤄지지 않은 시 주석의 방한도 논의될지 주목된다.

우리 정부로선 한미일 협력을 강화한 만큼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이 과제로 남았고 중국 역시 미중 갈등 구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한국, 일본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전날 중국 외교부가 대만 문제와 관련해 주중 한국·일본 공사를 초치한 데 대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허백윤·이민영 기자
2024-05-24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