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시진핑 만남… 北 도발 시나리오 변수 될까

바이든·시진핑 만남… 北 도발 시나리오 변수 될까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2-11-15 22:02
업데이트 2022-11-16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北에 책임있는 행동 촉구해야”
中, 직접 호응 안했지만 충돌 피해
北, 숨 고르기 vs 강행 의견 분분
동창리에선 발사장 새 건물 포착

이미지 확대
북한 동창리 위성발사장 엔진시험장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랩스의 14일(현지시간)자 위성사진(오른쪽). 지난달 28일(왼쪽) 위성사진과 달리 엔진시험대에서 동남쪽 약 200m 지점(원 안)에 관측시설이나 엔진시험대일 가능성이 있는 새 건축물 공사 장면이 보인다. 미국의소리 홈페이지 캡처
북한 동창리 위성발사장 엔진시험장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랩스의 14일(현지시간)자 위성사진(오른쪽). 지난달 28일(왼쪽) 위성사진과 달리 엔진시험대에서 동남쪽 약 200m 지점(원 안)에 관측시설이나 엔진시험대일 가능성이 있는 새 건축물 공사 장면이 보인다.
미국의소리 홈페이지 캡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첫 대면회담에서 ‘북한에 책임 있는 행동을 하도록 촉구하라’고 요구하면서 북한의 도발 시나리오에 변수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북한이 연말까지 7차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그 시기가 조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 주석과 회담한 뒤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에게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더이상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는 시도는 그들의 의무라는 점을 확실히 했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 측은 기존의 원론적 입장을 반복한 것으로 보인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미중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에서 “시 주석은 중국의 기존 입장을 서술했다”며 “한반도 문제의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직시하고 각측의 우려, 특히 북한의 합리적 우려를 균형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자제하는 중국의 노력을 촉구한 데 대해 중국이 직접적 호응은 피한 모양새다.

다만 중국이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피하려는 의도가 있고 북중 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향후 고강도 도발 여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미국과 충돌 가능성이 높은 북한의 7차 핵실험, ICBM 발사를 당분간 자제시킬 것으로 관측된다”며 “북한도 숨고르기를 하면서 내부 동계훈련 차원의 전력운용을 이어 가고 연말연시 과업 성과 도출 등 내부 체제 결속에 주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바이든 행정부가 이전과 달리 북한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상황에서 중국도 고민이 되겠지만 북한의 도발을 막기는 역부족”이라며 “북한은 이미 7차 핵실험을 하겠다는 의사를 중국에 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 새 건축물을 건설하고 있는 동향이 포착됐다. 미국의소리(VOA)방송은 14일(현지시간)자 민간위성사진업체 플래닛랩스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기존 엔진 시험대에서 동남쪽 약 200m 지점에 새 건축물이 지어지고 있다며 “새로운 엔진 시험대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서유미 기자
2022-11-1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