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경화 5개월 전 김현종과의 입씨름 국회서 인정, 왜 그랬을까

강경화 5개월 전 김현종과의 입씨름 국회서 인정, 왜 그랬을까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9-17 10:44
업데이트 2019-09-17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때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과 영어로 언쟁을 벌인 사실을 굳이 부인하지 않아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입장하는 두 사람. 뉴스1 자료사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때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과 영어로 언쟁을 벌인 사실을 굳이 부인하지 않아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입장하는 두 사람.
뉴스1 자료사진
의아한 일이다. 5개월 전 김현종(60)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과 입씨름을 벌였던 사실을 왜 굳이 “부인하지 않겠다”고 답했을까?

강경화(64) 외교부 장관은 16일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으로부터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계기에 김 차장과 다툰 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렇게 답해 눈길을 끌었다. 입씨름 말미에 영어로 싸웠다는 얘기도 있다는 정 의원의 지적에 강 장관은 특별히 해명하지도 않았다. 사실상 시인한 셈이다. 북미 비핵화 협상과 한일 갈등 등 산적한 외교 현안에 중심을 잡고 힘을 합쳐야 할 두 사람 중 한 쪽이 공개 석상에서 갈등이 있었음을 인정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연출됐다.

정 의원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을 종료하는 결정을 내린 당사자로 김 차장을 지목한 뒤 “국가 이익을 수호해야 할 고위공직자 자격이 있는 인물인지 매우 의문시된다”고 하자 “동료 고위 공직자에 대해 제가 공식적으로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고 말끝을 흐리고 만 것도 김 차장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여전히 풀지 못했다는 반증이란 분석이 나온다.

외교가에서 흘러나온 얘기를 종합하면 중앙아시아 순방 때 외교부 작성 문건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김 차장이 맞춤법이 틀렸다고 외교부 직원을 몰아붙이자 강 장관이 “우리 직원에게 소리치지 말라”고 제지했고, 김 차장이 “잇츠 마이 스타일”이라고 맞받았다는 것이다. 그 뒤 두 사람은 영어로 설전을 벌였다는 정도까지만 알려져 있다.

일부에서는 고위 외교 공직자들이 우리말 대신 영어를 쓴 것에 대해 마뜩치 않아 하지만 두 사람 모두 영어에 익숙해 벌어진 일이라는 게 외교가의 반응이다.

문제는 그런 부차적인 면보다 이 엄중한 시기에 외교 투톱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이렇게 갈등해야 하는 것이냐는 점이다. 강 장관은 내심 지소미아 종료나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청와대가 자꾸 외교부를 패싱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품고 대놓고 국회에서 그런 갈등이 있었다고 시인한 셈이다. 특히 김 차장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제치고 주요 현안에 대해 이런저런 발언을 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참여정부 시절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내 장관급 예우를 받다 차관급으로 강등됐다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털어놓은 일도 있고 차기 외교부 장관이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1순위로 거론되는 김 차장을 견제하겠다고 강 장관이 생각했을 것이란 추정도 가능한데 그것도 유치하기 짝이 없다.

그저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제대로 봉합하지 않으면 차후에 커다란 문제로 불거질 수도 있는 휘발성이 있다. 정의용 실장이나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중재에 나서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단속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