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갈등 속 한·미·일 동맹 강화… 中 견제 포석

동북아 갈등 속 한·미·일 동맹 강화… 中 견제 포석

입력 2014-02-14 00:00
업데이트 2014-02-14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바마, 4월 방한 극적 성사 배경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결국 오는 4월 한국과 일본을 둘 다 방문하기로 했다. 당초 일본만 방문키로 했으나 한국 정부의 설득에 방한 일정을 추가하는 이례적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오바마 대통령이 4월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 4개국을 순방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구체적 일정을 밝히지 않았으나 오바마 대통령이 오는 4월 22일부터 1박 2일간 일본을 방문한 뒤 23일부터 1박 2일간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청와대는 이날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과 관련, “한·미동맹 발전과 한반도, 동북아, 범세계적 문제에 대해 양국 정상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당초 일본 등 3개국 순방을 확정한 상태에서 막판 한국 정부의 요청을 받아 한국과 일본을 1박 2일씩 쪼개 방문하는 식으로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박 3일간의 국빈 방문을 요청해 놓은 일본 입장에서는 모양새가 구겨진 셈이 됐다.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 결심은 한·일 간 과거사 충돌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일본만 방문할 경우 아베 신조 정권의 과거사 폭주를 지지하는 듯한 신호를 주면서 한국 내 반미감정이 촉발될까 우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등 전직 관리들이 “한국을 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인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초 방한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공식화하면서 ‘한·중 대(對) 미·일’ 구도가 형성되는 분위기가 나타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미·일 3자 동맹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 입장에선 달갑지 않은 시나리오이기 때문이다.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한·일 관계를 포함해 북한 문제 및 동북아 정세 등 포괄적인 의제가 다뤄질 전망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미국으로서는 한·일 관계가 잘 풀려 나가기를 바라고 있고, 오바마 대통령이 일본을 들러 한국에 오는 만큼 한·일 간 갈등에 대한 이야기가 당연히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 정부가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을 추진하며 핵심적으로 제시한 것은 장성택 처형 이후의 북한 정세와 북핵 문제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의 한 인사는 이날 “미국의 외교채널에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 필요성으로 제시한 것은 북한의 정세가 불안정하고, 핵 능력 고도화를 가속화하는 북한에 대한 한·미동맹의 공고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게 핵심이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양국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를 촉진할 방안 등도 구체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서울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2-14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