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시대의 북한 알아야 제대로 된 대북정책 가능”

“냉전시대의 북한 알아야 제대로 된 대북정책 가능”

입력 2011-09-05 00:00
업데이트 2011-09-0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건 발굴 제임스 퍼슨 美 연구원

“냉전시대 북한사를 이해해야 현재의 대북정책도 옳게 세울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1963년 남한과의 수교 가능성을 논의했던 정황이 담긴 외교문건을 발굴한 제임스 퍼슨 우드로윌슨센터 연구원은 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사 연구는 죽은 역사 연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임스 퍼슨 美 연구원
제임스 퍼슨 美 연구원
→‘북한 기밀문서 발굴·연구사업’(NKIDP)은 어떻게 시작됐나.

-20년 전부터 ‘냉전 국제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러시아와 체코, 폴란드, 동독, 루마니아 등 옛 공산권 국가의 문서보관소 외교 문건들을 통해 냉전 시대에 대해 ‘반대편’으로부터 배우자는 취지다. 경남대와 함께 북한의 외교관계, 경제 발전, 핵프로그램의 기원 등에 대한 광범위한 문건을 수집 중이다.

→NKIDP 연구의 성과는.

-북한과 소련 등의 관계 연구를 통해 북한의 냉전사를 알아볼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당시 북한 정책을 이해하고 현재의 대북정책을 제대로 세울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김일성 북한 주석은 에리히 호네커 전 동독 공산당 서기장과의 대화에서 “중국이 북한 국내 문제에 자꾸 간섭해 걱정된다.”고 표현한 적이 있다. 현재 많은 전문가가 중국을 이용해 북한을 설득하자고 하는데 북한은 중국이 이미 이 같은 시도에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지금까지 수집한 문건 규모는.

-약 6만쪽가량 된다. 그러나 (영어로) 번역을 끝낸 것은 2~3%에 불과하다.

→연구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연구 비용 문제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이 1990년대 초부터 많은 지원을 해줘 관련 연구 기반이 조성됐으나 해석해야 할 문서가 워낙 많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9-0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