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비상임국 설득 中 이중압박

‘천안함’ 비상임국 설득 中 이중압박

입력 2010-06-09 00:00
업데이트 2010-06-09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과 가까운 우간다 등에 협조 요청… 의장성명 추진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천안함 사태 관련 대북 제재를 성공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중국을 직접 설득하는 한편 10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들을 우군으로 끌어들여 중국을 포위 압박하는 전략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8일 알려졌다.

외교통상부는 지난주 안보리 회부를 앞두고 과거 비동맹권으로 북한과도 비교적 가까운 한국 주재 대사들을 차례로 초청해 협조를 거듭 당부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가봉·레바논·나이지리아의 한국 주재 대사들을 1대1로 만나 안보리에서의 긴밀한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한국에 상주 대사가 없는 우간다의 경우 설득할 방도를 찾기 위해 고심하던 중 마침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방한한 고드프리 행정부 장관과 음웨시에 농림수산부 장관을 지난 4일 만나 협조를 당부했다.

당국자는 “서울과 유엔, 그리고 상대국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동시에 3각 설득을 벌이고 있다고 보면 된다.”면서 “한 번이라도 더, 한 명이라도 더 만난다는 각오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일본·멕시코·터키·오스트리아·브라질·보스니아 등 비상임이사국들은 우리의 우방국이거나 이미 대북 규탄성명을 발표한 나라들이어서 협조를 낙관하고 있지만, 정부는 만전을 기한다는 차원에서 역시 안보리 회부를 전후해 협조 의사를 재확인하고 있다. 당국자는 “보스니아의 경우 한국에 대사관이 없어 유엔에서 접촉, 설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보리 결의는 5개 상임이사국과 4개국 이상의 비상임이사국이 찬성해야 통과된다. 만약 5개 상임이사국이 모두 찬성하더라도 7개국 이상의 비상임이사국이 반대하면 결의안은 채택되지 못한다.

정부는 표결이 필요없는 ‘의장성명’을 채택하는 경우에라도 비상임이사국을 모두 우군화해 한목소리를 형성하는 게 중국을 압박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한편 천영우 외교부 제2차관은 이날 중국을 설득하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하기에 앞서 기자들에게 “북한의 천안함 격침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추가적인 대북제재 결의는 실익이 없다.”고 말해 ‘의장성명’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서울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06-09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