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26일 6개월만에 김영란법 논의 재개

정무위, 26일 6개월만에 김영란법 논의 재개

입력 2014-11-24 00:00
업데이트 2014-11-24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 정무위원회는 26일 법안심사소위를 열어 후반기 원구성 이후 6개월만에 처음으로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안)’에 대한 심의를 시작한다.

관피아 척결 등을 위한 주요 법안으로 거론돼 온 ‘김영란법’은 지난 5월 임시국회때 공론화됐다가 여야 이견으로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으며, 5월 중순 국회 후반기 원구성을 마친 뒤에도 7월초 한 차례 공청회가 열렸을 뿐이었다.

정무위는 25일 전체회의에서 법안소위 구성 안건을 의결한 뒤 26∼28일과 12월1일 나흘 연속 법안소위를 열어 국민권익위, 국가보훈처, 금융위원회, 국무조정실 순서로 계류 법안들을 논의키로 했다고 여당 간사인 김용태 의원이 24일 밝혔다.

심의한 법안 중 여야가 처리키로 합의한 법안들은 내달 3일 열리는 법안소위 및 5일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의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그러나 김영란법의 경우 법안심사를 위한 시일이 촉박한 데다 아직 정리되지 않은 쟁점이 많아 연내 처리가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

현재 김영란법은 부정청탁 개념의 불명확성, 가족 취업제한과 관련한 연좌제 문제, 법안이 국민의 청원권을 제약할 소지 등의 쟁점이 논란이 되고 있다.

앞서 지난 13일 정무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이 가진 전문가 간담회에서도 김영란법을 여론에 몰려 성급하게 제정할 경우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르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