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의 복심·입… 박지원·문재인 같은 ‘王수석’ 무게감

朴의 복심·입… 박지원·문재인 같은 ‘王수석’ 무게감

입력 2013-02-20 00:00
업데이트 2013-02-20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정현 정무수석

이미지 확대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복심’이자 ‘입’이 청와대에 입성한다. 청와대 비서실 9개 수석 가운데 박 당선인과 가장 오랜 시간 호흡을 맞춰온 만큼 ‘존재감’ 자체가 다르다는 평이다. ‘국민의 정부’ 출범 당시 청와대 ‘왕수석’로 불렸던 박지원 공보수석과 참여정부 시절 민정수석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보좌했던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만큼의 무게감이 묻어난다.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는 허태열 비서실장과 이남기 홍보수석 내정자와 함께 정무적 역할을 책임질 ‘청와대 3인방’ 중 한 명이다. 청와대와 정부, 청와대와 국회 간 징검다리 역할을 맡는다. 특히 이 홍보수석과는 광주 살레시오고 선·후배 사이로, 박근혜 정부의 ‘호남 인맥’을 대표한다.

이 내정자는 19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무수석은 ‘소통수석’이 돼야 한다”면서 “정부와 여당 특히 야당과 시민단체, 언론인의 생각을 읽는 그런 역할을 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은 야당에 대해 강경 태도를 견지해온 이 내정자가 국회 협력을 이끌어내야 하는 정무수석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용진 민주당 대변인은 “전형적인 미스캐스팅”이라며 “그동안 박 당선인의 정치적 경호실장 역할을 자임해왔던 만큼 정무수석이란 이름의 청와대 제2경호실장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 내정자는 박 당선인과 항상 정치적 궤적을 같이해왔다. 박 당선인이 당내 비주류로 혹독한 정치적 겨울을 보냈던 2008∼2010년 비공식 대변인 역할을 했다. 그는 또 새누리당의 불모지인 호남 출마를 고집하며 수차례 고배도 마셨다. 18대 비례대표 의원을 지냈다. 부인 김민경(50)씨와 1남1녀.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2-20 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