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은 결단… 추세반전 쉽지 않다”

“너무 늦은 결단… 추세반전 쉽지 않다”

입력 2012-03-24 00:00
업데이트 2012-03-2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野단일화 새국면… 총선 영향은

통합진보당 이정희(서울 관악을) 공동대표가 23일 야권 단일 후보를 사퇴하면서 야권의 단일화 갈등이 새 국면을 맞았다. 총선 판세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민주당은 일단 ‘급한 불은 껐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는 야권 경선 결과에 반발하고 있는 서울 은평을, 노원병, 고양덕양갑 예비후보들을 만나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결정을 받아냈다.

다만 앞으로 20일도 채 남지 않은 4·11 총선 때까지 그 후유증을 얼마만큼 다스릴 수 있을지가 문제다. 갈등은 일단 봉합되는 분위기지만 떨어진 지지율을 다시 올릴 동력까지 단시간 내에 만들어 내는 것이 관건이다. 야권 지지율은 민주당의 공천 난맥상에 연이은 통합진보당의 여론조사 조작 파문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또 다른 일이 터지지 않는 한 더 이상 상황이 나빠지지는 않겠지만 이 공동대표의 사퇴 결단이 너무 늦어 반전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 공동대표 본인으로서는 결단을 내린 것일 수도 있지만 구도적으로 볼 때는 이미 늦었다.”며 “빠른 시간 내에 사퇴했어야 했는데 야권 연대가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한 요건인 총선 구도와 후보 경쟁력 면에서 이미 흠집이 났다.”고 지적했다.

야권이 이번 일로 갈등을 빚고 여론의 뭇매를 맞는 동안 새누리당이 총선을 주도하고 야권은 끌려가는 구도가 돼버렸다고 분석된다.

김윤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이 공동대표의 결단으로 이탈하려던 정당 투표자들을 다시 불러세울 수는 있겠지만 지지를 더 확산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야권 입장에서 관악을 판세는 이미 망가졌고, 누가 출마한들 승산은 낮다.”고 전망했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3-24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