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여야 합의사안 떠넘겨”… 與 “28일 본회의 강행 명분 쌓기”

대통령실 “여야 합의사안 떠넘겨”… 與 “28일 본회의 강행 명분 쌓기”

이민영 기자
이민영, 장진복 기자
입력 2024-05-23 23:55
업데이트 2024-05-24 06: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소득대체율 45%案은 민주案
또 다른 거부권처럼 보이려는 의도”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영수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4.4.29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영수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4.4.29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대 국회 내 연금개혁안 합의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과 따로 만날 의사가 있다고 한 데 대해 “여야 합의 사안을 떠넘기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국민의힘도 22대 국회에서 여야가 관련 논의를 이어 가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대통령실은 입장이 없다. 여야 합의 전이므로 여당이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가 있고, 여야가 합의 과정 중인 사안에 대통령의 결단을 요구하는 것은 떠넘기는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28일 국회 본회의 강행에 명분을 쌓으려는 정략”이라며 21대 국회 내 추가 논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연금특위 위원인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윤 대통령이 연금개혁에 대한 명확한 의지를 밝혔는데도 불구하고 영수회담을 거론하며 압박하는 것은 또 다른 거부권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또 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민주당의 최종안이었던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5%를 수용하라’고 촉구한 데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 대표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5% 방안은 윤석열 정부가 제시했던 안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 배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의 주장을 민주당 대표가 수용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당권 주자들도 목소리를 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 대표의 얕은 속임수에 놀아나서는 안 된다”고 했다. 나경원 당선인도 “연금개혁은 한 번 하면 되돌릴 수 없다”며 “졸속 추진 아닌, 소득대체율, 미래세대 부담 등을 충분히 고려해 22대 국회에서 여야 합의 처리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민영·장진복 기자
2024-05-24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