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출,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에 “극단 팬덤 끌어당기는 ‘갈고리즘’”

박대출,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에 “극단 팬덤 끌어당기는 ‘갈고리즘’”

조중헌 기자
조중헌 기자
입력 2023-07-02 11:31
업데이트 2023-07-02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사회 갈등 부추기는 주범”
“외압 있었는지 진상 조사해야”
대책 마련에는 초당적 협력 촉구

이미지 확대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연합뉴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연합뉴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일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의 인위적 조작 의혹이 불거졌다”면서 “알고리즘이 아니라 갈등으로 끌어당기는 ‘갈고리즘’”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알고리즘이 악마의 도구화하고 있다. 국민을 진영에 가두고 극단화시키는 폐단을 더 키우고 있다”면서 이렇게 비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에 대해 전기통신사업법 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해 긴급 실태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만시지탄이다. 포털뉴스 알고리즘와 관련한 불공정 논란을 해소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우리 사회의 갈등을 부추기는 주범 중 하나가 알고리즘이라는 데 별로 이견이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수는 더 보수로, 진보는 더 진보로 끌려가고 있다”며 “자신의 세계관이 더 옳다고 믿는 ‘확증 편향’은 골이 더 깊어지고, 자신의 관점과 다르면 상대를 악마화하는 게 일상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장은 수사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런 알고리즘이 생산 과정마저 불공정하다면 그 폐해는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알고리즘 조작 여부에 대해 특정 세력의 외압이 있었는지, 가중치 조작이 있었는지 빠짐 없이 진상을 가려야 한다”며 “엄정하게 조사하고 불법이 있었다면 예외 없이 단죄해야 한다”고 했다.

박 의장은 “국회도 제도개선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알고리즘에 의한 선택적 노출은 불필요한 논란을 피할 수 없다. 최신순 과거순 노출은 진영간의 갈등과 논란을 지금보다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조중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