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세 주자가 없다’…민주당 전당대회, 안갯속 판세 이유는

‘대세 주자가 없다’…민주당 전당대회, 안갯속 판세 이유는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1-04-28 15:57
업데이트 2021-04-28 1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영길, 다소 우세하지만 홍영표·우원식 오차범위 내 접전
문재인 대표 후 추미애·이해찬·이낙연 ‘친문 대세 주자‘ 선출
친문 영향력 약해졌나…친문 구심력 강화될까 관심 쏠려

이미지 확대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깊이 반성한다던 더불어민주당이 5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내놓는 메시지들로 인해 ‘도로 친문당’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4월 20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합동연설회에서 당대표 후보에 나선 홍영표·송영길·우원식 의원 등 세 후보가 인사를 하고 있다. 여야 모두 현재와 같은 정치적 역량으로는 내년 3월 대선에서 유권자들을 설득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깊이 반성한다던 더불어민주당이 5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내놓는 메시지들로 인해 ‘도로 친문당’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4월 20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합동연설회에서 당대표 후보에 나선 홍영표·송영길·우원식 의원 등 세 후보가 인사를 하고 있다. 여야 모두 현재와 같은 정치적 역량으로는 내년 3월 대선에서 유권자들을 설득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28일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대의원·권리당원 투표를 시작했다. 홍영표, 송영길, 우원식 후보 중 ‘대세 주자’가 없는 상황을 두고 친문(친문재인) 일색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친문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송 후보가 다소 우세하지만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다. 2017년 5월 더불어민주당 출범 이래 판세를 예측하기 어려운 전당대회는 처음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새정치민주연합 시절인 2017년 2월 문재인 대통령이 대표로 선출된 이후 역대 전당대회에는 ‘대세 주자’가 있었고, 결과로 이어졌다.

 추미애, 이해찬, 이낙연 전 대표는 모두 ‘친문’ 색채가 짙다. 2016년 8월 전당대회에서 추 전 대표는 51.54%로, 이종걸(30.59%)·김상곤(22.08%) 후보를 눌렀다. 추 전 대표는 친문 주자로 부각되며 30%가 반영되는 권리당원 표에서 61.66%를 얻었다. 상대는 모두 비문으로 분류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분당 사태 이후 처음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추 대표가 당선되면서 친문과 권리당원이 본격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2018년 8월 이해찬 전 대표는 42.88%를 얻었다. 여론조사에서 줄곧 우위를 점하던 이 전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주장하며 친문 후보임을 강조했다. 지난해 8월 이낙연 전 대표는 60.77%로 김부겸(21.37%), 박주민(17.85%) 후보를 압도했다. 현 정부 초대 총리를 역임한 그는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이번에는 ‘친문 대세 주자’ 공식이 통하지 않는 모양새다. 모두 친문 혹은 범친문 후보로 불리는 탓이 크다. 일각에서는 부동산 정책 수정을 예고하는 등 차별화를 꾀하는 송 후보가 당선될 경우 친문의 영향력이 약해진 것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대로 친문 핵심그룹 ‘부엉이 모임’의 홍 후보가 당선된다면 친문 구심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변수는 권리당원이다. 투표 결과는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국민 10%, 일반당원 5% 비율로 반영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친문 색채가 강한 권리당원들이 홍 후보나 우 후보 중 한명에게 표를 몰아주면 결과가 뒤바뀔 수도 있다”며 “권리당원을 얻지 못하고는 대표가 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민주당은 29일까지 온라인투표를, 30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를 진행한다. 국민과 일반당원 여론조사는 29~30일 진행된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