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응원단·선수단 등 299명 귀환…“하나란 것 실감”

北응원단·선수단 등 299명 귀환…“하나란 것 실감”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2-26 14:51
업데이트 2018-02-26 14: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NOC관계자 4명·선수단 45명·응원단 229명·기자단 21명 등 경의선 육로로 돌아가

평창동계올림픽에 참여한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등 299명이 26일 낮 경의선 육로를 통해 북한으로 귀환했다.
이미지 확대
26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북한의 여자아이스하키 선수단이  출경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6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북한의 여자아이스하키 선수단이 출경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북한 국가올림픽위원회(NOC) 관계자 4명과 선수단 45명, 응원단 229명, 기자단 21명 등으로, 이들은 이날 오후 12시33분께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출발해 5분 뒤 군사분계선(MLD)을 넘어 북한으로 돌아갔다.

북측이 갖고 온 관련 화물은 이날 오전 10시께 이미 MDL을 통과해 북측으로 넘어갔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버스 10대에 나눠타고 CIQ에 도착한 이들은 좀 피곤한 기색이었지만 비교적 밝은 표정이었다.

지원인력(보장성원)으로 방남했던 한성원 씨는 “이번 올림픽을 정말 잊지 못하겠다. 우리가 하나란 것을 실감했다. 이런 기회가 자주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강국 조선중앙통신사 기자는 “모든 경기가 다 기억에 남았다”면서 “이번에 정말 특별했다. 특히 단일팀, 그런 유일팀을 계속 꾸려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렴대옥과 함께 피겨스케이팅 페어에 출전했던 김주식은 “뜨거운 성원 고맙습니다”라고 감사를 전했다. 한 아이스하키 선수는 ‘어떤 경기가 인상이 깊었느냐’는 질문에 “다 인상 깊었다. 모든 경기가 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음에도 단일팀이 구성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꼭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응원단들도 다양한 소감을 밝혔다. 한 응원단원은 “하루빨리 통일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함께 응원하고, 하나가 돼서 다행이고 웃고,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른 응원단원은 “올림픽을 통해서 우리 북과 남의 통일 열기가 더욱 고조되고 이번 계기를 통해서 공동으로 투쟁할 때만이 조국통일의 그 날이 하루빨리 앞당겨지리라 생각한다”면서 공동응원이 제일 뜻깊었다고 밝혔다. “남과 북이 언어도 핏줄도 같은 한겨레라는 것을 느꼈다”는 응원단원도 있었다.

이들은 지난 7일 방남해 인제스피디움에 머물며 평창올림픽에 출전한 북측 선수와 남북 단일팀뿐 아니라 남측 선수를 위해서도 열띤 응원을 했다.

북한 응원단의 방남은 2005년 인천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이후 13년 만이었다.

이들의 귀환으로 남측에는 평창올림픽 폐회식 참석 등을 위해 25일 2박3일 일정으로 방남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등 고위급대표단 8명만 남게 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