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반통합파, 민주당 2중대 하자는것…도 넘으면 특단조치”

안철수 “반통합파, 민주당 2중대 하자는것…도 넘으면 특단조치”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1 16:10
수정 2018-01-21 16: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원순에 “친문에 메시지 던지나…선 넘지 말아야”

바른정당과 통합을 추진 중인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21일 “통합 반대파들이 분당을 공식화하는 등 도를 넘는 행위를 하려 한다”며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당 대표로서 특단의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안 대표는 이날 여의도의 한 커피숍에서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와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른 의견이 있으면 당내에서 토론하고, 민주적 절차로 의사결정이 되면 따라야 한다. (반대파가) 신당을 창당하는 것 등은 용납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대표는 “통합을 반대하는 것은 결국 더불어민주당의 2중대를 하자는 주장”이라며 “반대파 중에는 개인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호남을 고립시키려는 분들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통합 반대파는 저에게 ‘적폐세력과 손을 잡고, 차기 대선을 위해 호남을 버린다’고 주장하는데 근거가 없다”며 “한국당이나 민주당과 2단계로 합칠 일은 절대로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안 대표는 ‘특단의 조치가 곧 반대파에 대한 출당조치냐’는 질문에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입장”이라고만 답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안보정책 차이점에 대한 질문에는 “기본적으로 대북정책에서 큰 이견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팀 남북 단일팀 구성 문제에 대해서는 “이낙연 국무총리는 메달권이 아니니 단일팀이 괜찮다고 얘기했는데, 총리에게 ‘다음 대선에 나올 가능성 없으니 정계은퇴를 하라’라고 하면 뭐라고 답하겠나”라고 질타했다.

안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안 대표는 서울시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자신의 비판에 박 시장이 페이스북을 통해 “새 정치와 거리가 먼 방식”이라고 반박한 데 대해 “박 시장의 SNS를 보면서 친문(친문재인) 세력에게 메시지를 던지기 위한 말씀이라고 생각했다”며 “넘지 말아야 할 선은 안 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봉준 서울시의원 “‘정원결혼식장’ 피로연 없는 작은 결혼식 문화, 확산 계기로 삼아야”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봉준 의원(국민의힘, 동작구 제1선거구)은 지난 19일 열린 정원도시국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서 서울시가 추진 중인 정원결혼식장 조성 예산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공공예식장의 실질 수요 반영 및 문화 개선 효과 중심의 정책 전환을 주문했다. 서울시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 약 15억원을 편성해 8개소의 정원예식장을 신설·정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굳이 시급하지 않은 예산을 추경으로 편성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오히려 본예산에 통합 편성하여 체계적으로 계획 수립 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공공예식장 운영 실적의 편차와 수요 미비 문제를 조목조목 짚었다.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공예식장(정원예식장 포함)은 총 27개소이며, 이 중 여성가족실이 운영하는 25곳 가운데 절반 이상인 13곳에서는 예식이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고, 일부 예식장에 예약이 집중되는 쏠림현상만 나타나는 실정이다. 특히 이 의원은 “정원도시국이 운영하는 2곳은 예약이 비교적 활발하지만, 여성가족실이 운영하는 다수 시설은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면서 “새로운 예식장을 조성하거나 잘 되는 곳만 보수하기
thumbnail - 이봉준 서울시의원 “‘정원결혼식장’ 피로연 없는 작은 결혼식 문화, 확산 계기로 삼아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