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욱 “온라인 음란정보 10건 중 7건이 텀블러”

민경욱 “온라인 음란정보 10건 중 7건이 텀블러”

입력 2017-09-19 09:44
업데이트 2017-09-19 09: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은 19일 야후가 운영하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텀블러’가 성매매·음란 정보 유통으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가장 많은 시정 요구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민 의원이 이날 방통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2015∼2017년 6월)간 성매매·음란 정보 유통으로 시정 요구를 받은 게시글은 총 16만2천793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15년에 5만695건에서 지난해 8만1천898건으로 늘었다. 올해는 상반기 현재 3만200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올해를 기준으로 텀블러가 전체 시정 요구 건수의 7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텀블러에 대한 시정 요구 건수 비중은 2015년 9천477건으로 17%였으나 지난해 58%(4만7천480건)로 급증한 뒤 올해는 74%(2만2천468건)까지 치솟았다.

최근 3년간 전체 시정 요구 건수를 소셜미디어별로 보면 텀블러(7만9천425건)가 단연 1위였고 그 다음은 ▲트위터(1만8천789건) ▲카카오(8천202건) ▲포토슈가(7천439건) ▲네이버(457건) 등의 순이었다.

민 의원은 “(소셜미디어는)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만 설정하면 가입이 가능한 손쉬운 절차와 익명성 때문에 (각종 음란정보의) 전파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경찰 등 관계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시정 요구 및 제재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