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못’ 박은 사드에 中보복 격화하나…美역할론 부상

‘대못’ 박은 사드에 中보복 격화하나…美역할론 부상

입력 2017-03-07 11:23
업데이트 2017-03-07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비 한반도 전개-성주 배치 사이 기간 보복 집중 가능성

한미가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의 본격적인 이행에 착수함에 따라 이미 폭과 강도에서 확대일로를 달리고 있는 중국의 보복이 한층 격화할지 주목된다.

국방부는 7일 “대한민국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체계를 배치한다는 한미동맹의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사드체계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발표했다.

탄핵 심판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박근혜 정권의 유지냐 조기 대선이냐의 갈림길에 선 시기에 이뤄진 이번 조치는 차기 정권 출범 전에 사드 배치에 ‘대못’을 박으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는 한국의 사드 배치 문제를 다음 정권의 결정으로 넘기게 만들려는 중국의 노림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독일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 등 계기에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는 메시지를 한국 측에 전한 바 있다.

결국 중국은 오산기지를 통해 한국으로 반입된 사드 체계가 경북 성주의 롯데 골프장 부지에 실전 배치되는 시기를 ‘레드라인’으로 설정한 채 보복의 강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행 관광 상품 판매 중단, 중국내 롯데 매장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 등에 이어 각종 비관세 보복이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법적 절차를 검토하고 있지만 승산을 떠나 우리 경제가 입을 즉각적인 타격을 막을 유효한 수단은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국제 여론을 상대로 중국 조치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대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그 역시 단기간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는 이들은 많지 않다.

외교가는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한중일 순방이 중국의 보복 폭주에 브레이크가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4월 미중 정상회담 성사 여부와 연계된 듯 보이는 틸러슨 장관의 중국 방문 기간 북핵 해법을 논의하는 맥락에서 사드 문제도 거론될 공산이 커 보인다.

주한미군 사드를 미국의 대 중국 견제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중국에게 사드가 본질적으로 북한 핵미사일 대응용임을 설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미국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