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보이콧… 與 비대위·혁신위 무산

친박 보이콧… 與 비대위·혁신위 무산

장세훈 기자
입력 2016-05-17 23:10
업데이트 2016-05-18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위 회의 사상 초유 불발…김용태 혁신위원장 전격 사퇴

“새누리 정당 민주주의 죽었다”
黨 위상 추락·쇄신 ‘시계 제로’

4·13 총선 참패 이후 새누리당을 수습하기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 구성이 17일 무산됐다. 김용태 혁신위원장은 내정 이틀 만인 이날 전격 사퇴했다.

비대위와 혁신위의 인선과 권한을 놓고 친박근혜계의 집단 반발이 빚어낸 초유의 결과다. 계파 갈등의 민낯만 고스란히 드러내면서 집권 여당의 위상은 급전직하의 위기에 처했고, 당 쇄신 역시 ‘시계 제로’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비대위·혁신위 구성안을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의결정족수 미달로 회의 자체가 무산됐다. 상임전국위원 52명 중 절반에도 훨씬 못 미치는 22명만 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의 의결 기구인 상임전국위와 전국위가 회의조차 열지 못한 채 불발로 끝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친박계는 정진석 원내대표가 임명한 김 혁신위원장 내정자와 비대위원들이 비박(비박근혜)계 일색이라며 반발했고 결국 ‘회의 보이콧’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혁신위원장 내정자는 회의 무산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 새누리당에서 정당 민주주의는 죽었다.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면서 “국민에게 무릎 꿇을지언정 그들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면서 위원장직 사퇴를 선언했다. ‘그들’이라는 말로 에둘러 표현했지만 친박계를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정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선출해 전당대회 개최를 준비하고, 혁신위에 당 쇄신에 대한 전권을 부여하겠다는 당초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됐다. 친박계와 비박계 사이에서 ‘외줄’을 타는 형국에 놓인 정 원내대표의 향후 선택이 주목된다.

정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도 예상되는 만큼 상임전국위·전국위 재소집 여부를 놓고도 계파 간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비대위·혁신위 체제를 건너뛰고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당권 경쟁이 조기에 불붙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6-05-18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