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詩로 심경표현

文 “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詩로 심경표현

입력 2015-12-07 07:13
업데이트 2015-12-07 0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뿌리 깊으면 밑둥 잘려도 새순 돋거니…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安이 답 요구한 날 SNS에 시 올려’뚜벅뚜벅 마이웨이’ 해석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6일 밤 페이스북에 고(故) 고정희 시인의 시 ‘상한 영혼을 위하여’를 올렸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탈당불사의 배수진까지 친 채 혁신전당대회 개최를 재차 요구하며 문 대표의 답을 요구한 터라 문 대표가 복잡한 심경을 시를 통해 에둘러 표출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문 대표측 주변에서는 당초 이날 중으로 입장을 낼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으나,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시간을 더 주셔야죠”, “오늘은 이야기하지 않겠다”고 입을 닫았다.

이 시는 “상한 갈대라도 하늘 아래선/한 계절 넉넉히 흔들리거니/뿌리 깊으면야/밑둥 잘리어도 새순은 돋거니/충분히 흔들리자 상한 영혼이여/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로 시작된다.

시는 “뿌리 없이 흔들리는 부평초잎이라도/물 고이면 꽃은 피거니/이 세상 어디서나 개울은 흐르고/이 세상 어디서나 등불은 켜지듯/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가자/외롭기로 작정하면 어디든 못 가랴/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라고 이어진다.

이어 “고통과 설움의 땅 훨훨 지나서/뿌리 깊은 벌판에 서자/두 팔로 막아도 바람은 불듯/영원한 눈물이란 없느니라/영원한 비탄이란 없느니라/캄캄한 밤이라도 하늘 아래선/마주잡을 손 하나 오고 있거니”로 마무리된다.

이를 두고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뚜벅뚜벅 가던 길을 가겠다는 뜻을 피력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