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무법천지 폭도 엄단” vs 野 “국민에 살인적 폭력”

與 “무법천지 폭도 엄단” vs 野 “국민에 살인적 폭력”

입력 2015-11-16 10:57
업데이트 2015-11-16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말 도심 대규모 집회 놓고 “불법시위” “불법진압” 규정 충돌

여야는 16일 지난 주말의 대규모 도심 집회와 이에 대한 당국의 대응 수위를 각각 ‘폭력 시위’와 ‘폭력 진압’으로 규정, ‘시위대 횃불과 경찰 물대포의 대치 상황’을 여의도로 옮겨왔다.

새누리당은 ‘민중총궐기대회’라는 이름으로 열린 집회를 ‘불법 정치 집회’라고 비판하면서 엄단을 주문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사회를 혼란하게 만들려는 ‘전문 시위꾼’이 우리나라의 심장부인 광화문 일대를 무법천지로 만들었다”고 주장하면서 “관계 당국은 엄격한 대응에 직을 걸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집회에서 ‘통합진보당 해산 반대’, ‘이석기 석방’ 등의 구호가 나와 과연 시위대가 순수한 동기가 있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불순 세력이나 선동 세력이 있는지 단호하게 추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쇠 파이프와 횃불까지 동원한 불법 시위는 박근혜 정부에서 뿌리 뽑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고, 김을동 최고위원은 “불안감을 조장하고 법의 테두리를 벗어나는 과격한 폭력 집회는 폭동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광화문 집회와 비슷한 시각에 지구 반대편 프랑스 파리에서 벌어진 대규모 테러 사태를 예로 들어 “극단적인 반체제 세력이 배후에서 조종하는 폭력을 근본적으로 제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당내 초·재선 의원 모임인 ‘아침소리’에서도 “시위대는 유사 범죄단체”(이노근 의원), “‘광우병 시위’ 연상”(김종훈 의원) 등의 비판이 쏟아졌으며, “이번에 부서지고 불탄 경찰 버스 50대를 광화문에 전시하자”(하태경 의원)는 제안도 나왔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경찰이 규정을 어긴 과잉 대응으로 무고한 시민에게 폭력을 행사했다고 맞섰다.

문재인 대표는 “정부는 민생을 죽이고 국민을 탄압하는 일에 매우 유능하다. 결코 정상적인 정부가 아니다”며 “정부는 청년실업, 노동개악, 농산물 가격폭락을 호소하는 국민 절규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헌법재판소는 2011년 경찰이 서울광장을 차 벽으로 둘러싸고 시민통행을 막은 것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며 “국민의 목소리를 차 벽으로 가로막은 것은 명백한 위헌”이라고 비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전국농민회연맹 소속 백모씨가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쓰러졌는데도 이를 방치한 탓에 중태에 빠졌다고 지적하면서 “경찰의 행위가 (세월호 참사의) 이준석 선장의 ‘부작위 살인’과 유사한 정도의 행동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이번 사안과 관련해 당 대책위원장을 맡은 정청래 최고위원은 경찰의 시위 진압에 사용된 물과 캡사이신이 각각 18만2천ℓ와 651ℓ로 지난해 1년 사용량의 45.5배와 3.4배에 달했다고 밝히면서 “살인적 폭력진압”이라고 규탄했다.

유승희 최고위원은 “경찰의 진압은 명백히 불법 진압, 과잉 진압, 폭력 진압, 살인 진압”이라며 “(박근혜 정부를 입헌군주제에 빗댄) ‘입헌공주제’라는 말이 나돈다. 그렇게 개헌하려는 거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고 비꼬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