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미래위한 숭고한 결단”…野 “2천만 노동자 동의아냐”

與 “미래위한 숭고한 결단”…野 “2천만 노동자 동의아냐”

입력 2015-09-14 22:56
업데이트 2015-09-14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 한국노총 ‘노동개혁 대타협안’ 추인에 엇갈린 반응

여야는 14일 한국노총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전날 노사정위원회가 합의한 노사정 대타협안을 격론 끝에 추인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국가의 미래를 생각한 숭고한 결단”이라고 높게 평가한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2천만 노동자의 동의를 의미하는 게 아니다”며 애써 의미를 축소했다.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한국노총 중앙집행위의 결정을 환영한다”면서 “국가의 미래를 생각한 숭고한 결단에 경의를 표하며, 무엇보다 노사정 대타협을 온전히 이뤄냈다는 점은 대단히 기쁜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노사정위가 어려운 고비들을 무사히 넘긴 만큼 이제는 국회가 제 몫을 다 해야 할 때”라며 “힘들게 대타협을 이뤄낸 만큼 입법으로 이를 적극 뒷받침해 노동개혁에 마지막 날개를 달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실업문제와 민생경제를 생각해서라도 국회가 노동개혁의 발목을 잡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새정치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한국노총 자체가 이번에 정부의 압박을 많이 받는 가운데 노사정위에 참여했고 그런 상황에서 합의가 이뤄졌다”며 “합의안이 노동계의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한국노총 중앙집행위원회 통과가 2천만 노동자의 동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김 대변인은 “쉬운해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반 해고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금지 완화는 대기업에 편향된 조치이고 고용을 불안정하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오히려 노동개혁의 요체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장의 근로시간을 단축해 일자리를 만들고 근로자의 삶을 개선하는 것으로, 그것이 고려되지 않은 노동개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