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논의 적십자 실무접촉도 무박2일 마라톤협상

이산상봉 논의 적십자 실무접촉도 무박2일 마라톤협상

입력 2015-09-08 00:12
업데이트 2015-09-0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산가족 생사확인·상봉 행사 정례화 등 놓고 진통

무박 4일의 판문점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합의된 추석 계기 이산상봉을 논의하는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마저 무박 2일의 마라톤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은 7일 오전 10시50분께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예정보다 50분 늦게 시작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실무절차를 협의하는 문제로 시작시간이 예정(오전 10시)보다 조금 지연됐다”고 밝혔다.

남측 수석대표인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과 북측 수석대표인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은 실무회담을 시작하면서 웃으며 악수하는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막상 협상에 들어가자 양측은 이산가족 상봉 시기 등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은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 10일) 전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우려해 이달 말 혹은 내달 초에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고 주장한 반면 북측은 노동당 창건 행사 준비를 이유로 다음 달 10일 이후에 상봉 행사를 하자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의 협상과정에서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하는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가 발표돼 이산가족 상봉 합의를 낙관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 외에 우리 측이 제기한 ▲ 전면적인 이산가족 생사 확인 ▲ 이산가족 서신 교환 및 화상 상봉 ▲ 이산가족 고향방문 ▲ 상봉 행사 정례화 등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을 놓고도 양측은 진통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우리 정부가 전면적 이산가족 생사 확인을 요구했을 때도 북측은 행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수용하지 않은 바 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정례화 등도 북측이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합의해준 전례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작년 2월 이산가족 상봉 때 적십자 실무접촉은 4시간 만에 마무리됐다는 점에서 이번 실무접촉에선 상봉 행사 이외 우리 정부가 제기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방안을 놓고 양측이 줄다리기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과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생사확인은 적십자 실무접촉이 아니라 적십자 본회담 등에서 논의됐던 의제”라며 “북측은 이런 문제는 금강산 관광 재개 등과 연계해 논의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적십자 실무접촉은 대표단 전원이 참여하는 전체회의로 시작돼 수석대표 접촉, 전체회의, 정회를 반복하며 8일 00시10분 현재 13시간 이상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