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총선룰’ 논의 재개…획정기준 합의 시도

정개특위 ‘총선룰’ 논의 재개…획정기준 합의 시도

입력 2015-09-07 08:17
업데이트 2015-09-07 0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거구획정위, 농어촌 지역 현장의견 수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7일 공직선거법심사소위를 열어 내년 20대 총선에 적용할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기준 및 공천·선거제도에 대한 논의를 재개한다.

사실상 ‘빈손’으로 활동이 만료된 정개특위가 지난 1일 본회의 의결로 재구성돼 2기 활동을 시작한 이후 처음 열리는 회의여서 여야가 ‘평행선’을 달려온 ‘선거 룰’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날 소위에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석패율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선거구 획정기준, 의원정수 및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 등 선거제도 개혁 및 선거구획정을 둘러싼 핵심 쟁점들이 두루 논의될 예정이다.

여야는 국정감사가 시작되는 오는 10일 전까지 적어도 선거구 확정기준만큼은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이지만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놓고 입장 차가 워낙 커서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더욱이 여야를 막론하고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이 농어촌 특수성을 획정기준에 반영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협상이 더욱 꼬인 상태다.

이에 따라 이날 소위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으면 여야 지도부가 ‘교통정리’에 나서기 위해 담판 회동을 가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다만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각각 비중을 두고 있어 양당 지도부 회동이 성사되더라도 최종 접점을 찾기까지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앙선관위 산하 독립기구인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이번 주에 인구수 미달로 지역구 통폐합이 거론되는 농어촌 선거구 지역 등을 순회 방문하며 현장 의견을 수렴키로 했으며, 이날 첫 번째 일정으로 경북 지역을 방문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