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켜보자”…위기감 속 진실규명·여론에 촉각>

<與 “지켜보자”…위기감 속 진실규명·여론에 촉각>

입력 2015-04-11 13:23
업데이트 2015-04-11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완종자살로 해명 쉽지않아 더 고약”…재보선 ‘전패’ 위기감

새누리당은 11일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연이틀 강타하자 곤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한 채 여론의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이번 리스트에 박근혜정부의 핵심 인사들이 거명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 정권의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섣불리 대응할 경우 오히려 위기만 키울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당 지도부는 일단 ‘신중 모드’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단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자는 게 당 지도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엄청난 대형 악재임은 분명하고 일단 상황을 지켜보는 도리 밖에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여권에서는 특히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자살함으로써 진실규명이 더욱 어려워짐에 따라 자칫 이번 파문이 현정부를 힘들게 했던 ‘정윤회 비선실세 의혹’이나 ‘세월호 참사’보다 더 ‘악성코드’일 수 있다고 우려하며 여론의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당직자는 “사실 관계를 철저하게 수사로 밝혀야 하겠지만 한 분(성 전 의원)이 망자가 됐으니 이게 밝혀지기 쉽지 않은 문제가 아니냐”며 “해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사건 자체의 성격이 고약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새누리당은 4·29 재보선에 대한 승리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던 차에 메가톤급 핵폭탄이 터지자 최악의 경우 ‘전패’할 수도 있고, 내년 총선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걱정에 휩싸여있다.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국민이 납득할 만큼 사실 여부를 하루빨리 밝히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성 전 회장이 죽으면서 인터뷰를 하고 메모를 남긴 상황에서 집권여당이 그냥 앉아서 기다리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다”며 “이런 상황에서 신빙성이 없는 허언이라고 대응하는 것은 무책임하며 사실을 밝히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일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원내 지도부는 각종 현안, 입법 과제가 산적한 4월 임시국회도 당장 ‘성완종 리스트’ 공방에 휩싸여 공무원연금개혁이나 경제살리기법안 처리 등에 차질이 빚어질 게 불 보듯 뻔한 상황이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