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회의록’ 미스터리] “기록물 통째로 넘겨… 내가 가면 찾아낼 수 있다”

[‘NLL 회의록’ 미스터리] “기록물 통째로 넘겨… 내가 가면 찾아낼 수 있다”

입력 2013-07-19 00:00
업데이트 2013-07-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정부 마지막 기록관리비서관 김정호씨 주장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마지막 기록관리비서관으로 대통령 기록물을 국가기록원 내 대통령 기록관에게 직접 이관했던 김정호 봉하마을 대표는 18일 “대통령 기록물 이관 과정에서 기록물이 유실될 가능성은 있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대표는 또 “노무현 대통령 재임 시 특허 기술로 독자적인 문서관리시스템인 ‘이(e)지원’을 구축해 모든 기록물을 저장했고, 이지원 시스템을 비롯해 모든 기록물을 넘겼기 때문에 내가 가면 (회의록을) 찾아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당시 대통령 기록물 이관 과정에 대해 “이지원에 있는 모든 기록물을 외장하드디스크에 담아 통째로 이관했고, 외장하드를 구동할 수 있는 컴퓨터와 문서를 열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프로그램에 탑재된 문서까지 전부 인수인계 과정을 거쳐 넘겼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대통령 기록관에 이관한 기록물은 총 3가지 버전”이라면서 “최초로 이지원에 탑재한 모든 기록물들을 복제해서 이관했고, 두 번째로 이지원시스템 컴퓨터 본체와 구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모든 기록물을 통째로 넘겼고, 마지막으로 봉하마을에 있는 복사본까지 반환했다”며 기록물 유실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어 “대통령 지정기록물은 대통령 이외에는 15년 동안 볼 수 없고, 국회에서 3분의2 이상 의결을 통해 고등법원장의 영장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이라면서 “누군가가 불리한 자료라고 폐기하거나 누락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대통령 기록관리시스템은 문서 한 건 한 건이 비밀등급과 보존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키워드 검색으로 안 나오지만, 이지원은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다”면서 “이지원 문서기록과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시스템 간 호환 내지는 변환 여부에 대해 대통령 기록관이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3-07-19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