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일성 생일 앞두고 ‘北수용소’ 동시다발 폭로

정부, 김일성 생일 앞두고 ‘北수용소’ 동시다발 폭로

입력 2013-04-01 00:00
업데이트 2013-04-01 1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2년 외신 상대로 대대적 폭로 캠페인’특종’ 기회도 제공 <※ 편집자주 = 외교부는 ‘외교문서공개에 관한 규칙’에 따라 매년 외교문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982년에 생산된 문서 위주로 총 1천490권, 22만여쪽의 외교문서가 공개됐습니다. 연합뉴스는 이 자료를 입수해 지난달 31일 저녁 ‘이한영 망명 외교문건 30년만에 공개’ 제목의

정부가 국제사회에 북한 체제의 허구성을 알리기 위해 북한의 정치범수용소 실상을 폭로하는 캠페인을 1980년대 초반 대대적으로 전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가 1일 입수한 외교문서 ‘북한 특별독재대상구역 폭로활동’(1982년 생산)에 따르면 정부는 1979년 귀순한 북한군 국가보위부 장교, 1980년 자수한 남파간첩, 1982년 1월 귀순한 북한 국가정치보위부 정보원으로부터 정치범수용소인 ‘특별독재대상구역’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어 정부는 고도로 정밀한 항공사진을 토대로 정치범수용소의 위치와 시설규모까지 확인했다.

당시 정부가 파악한 수용소는 함경북도 온성, 회령, 함경남도 요덕 등 8곳이었다. 수용소에 있는 인원은 수용소의 숙박시설을 토대로 10만5천명으로 추정됐다.

북한 수용소에는 67년 북한에서 숙청된 박금철 당 정치위원 겸 부수상, 김도만 당 중앙위 비서국 비서 등도 수용된 것으로 파악했다.

정부는 공작원들도 교육의 일환으로 수용소를 방문, “공작원이 배신하면 그 가족들이 이곳에 수용된다”는 협박을 받았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정부는 국가안전기획부가 파악한 이런 내용을 토대로 관계 부처 회의를 통해 폭로 계획안을 만들었다. 폭로 시기는 김일성 생일인 4월 15일보다 이른 1982년 3월 25일부터 4월 10일로 정했다.

정부는 북한의 인권 탄압상이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도록 세계주요 언론에 동시다발적으로 폭로키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파급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도자료만 낼지, 정부 발표와 함께 보도자료를 배포할지, 세계 4대 통신사에만 자료를 줄지, 특정 통신사에게만 특종으로 자료를 제공할지 등의 안을 놓고 세밀하게 장단점을 비교하기도 했다.

또 사전에 보도자료를 작성, 재외공관에 배포해 폭로 내용을 확산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국제기구 제소와 규탄 행사 등도 병행토록 했다.

특별 취재에 나서는 외신에는 항공사진 제공, 귀순자 인터뷰 등 ‘특종’ 기회도 제공키로 했다는 내용도 확인됐다.

정부의 이런 계획에 따라 뉴욕타임스가 82년 4월 11일 첫 보도를 했고 그해 4월 23일까지 53개국 150여개 매체가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