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본 안철수

심리학으로 본 안철수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완벽주의 이상주의 대세주의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2008년 9월 대한상공회의소 조찬간담회에서 “한 사람의 영웅이 역사를 바꿀 수는 없다.”고 말했다. “과거의 성공에 연연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과거를 잊고 현실을 발판으로 미래를 보는 게 좋다.”고도 했다. 스스로를 낙관주의자가 아닌 차가운 머리를 가진 현실주의자로 소개하면서다.

안 원장은 완벽주의자로 통한다. 때문에 신경정신과 상담 경험이 있다고 인터뷰에서 고백한 적이 있다. 정치 참여 표명에 오랜 시간이 걸린 것도 안 원장 특유의 성향이 작용했다는 지적이 있다.

안 원장은 2001년 9월 안랩 홈페이지에 쓴 칼럼을 통해 교통법규 위반 딱지를 뗀 뒤 심한 자책감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고, 그날 이후 모든 행선지의 교통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고 밝혔다. 운전면허시험을 칠 때는 서울대 의대생이니 응당 만점을 받을 것이라는 주위의 시선 때문에 필기시험 예상 문제집을 처음부터 끝까지 외우고 갔었다고 털어놨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18일 안 원장에 대해 “강박증 측면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위치에 대한 탐색이 끝나지 않거나, 익숙한 상황이 아니면 자기 표현을 꺼린다.”며 “안정된 상황에서는 수동적이고 의사 결정도 느리겠지만, 변화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뛰어난 통제력과 판단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안 원장은 자신의 꿈을 현실에서 확인하고 싶어 하는 이상주의자이지만, 상황에 따라 공격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최진 대통령리더십 연구소장은 안 원장을 “대세 편승형”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대선 출마를 선택이 아닌 주어진 역할로 판단하고 상황이 무르익을 때까지 기다리는 스타일”이라며 “즉흥적으로 결정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정치인의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반면 우유부단함으로 보여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송수연기자 songsy@seoul.co.kr

2012-09-19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