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 “애국가는 국가가 아니다”

이석기 “애국가는 국가가 아니다”

입력 2012-06-16 00:00
업데이트 2012-06-16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애국가 부르면 쇄신이냐 황당하다”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은 15일 “애국가는 국가(國歌)가 아니다. 애국가를 국가로 정한 바 없고, 우리나라는 국가가 없다.”고 말해 정치권의 논란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이석기 의원 연합뉴스
이석기 의원
연합뉴스
이 의원은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우리 애국가는 그냥 나라 사랑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로, 독재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건데 그걸 마치 국가인 양 생각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우리나라 애국가는 아리랑”이라며 “(통진당 새로나기 특위가) 마치 애국가 부르는 것을 쇄신인 양하는 모양인데, 애국가를 부르면 쇄신이냐.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17대 국회 때 민주노동당은 애국가 대신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13석을 돌파했다.”며 “애국가가 대체 무슨 상관이냐.”고 반문했다.

애국가는 1930년대 후반 안익태 선생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든 곡으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국가로 제정됐다. 애국가를 부정한 이 의원의 발언은 종북 논란과 맞물려 정치권에 또 다른 논란을 불러올 전망이다. 이 의원은 자신을 둘러싼 종북 논란과 관련, “거창하게 말하면 대선 정국을 맞아 정치권의 선거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고 특정 매체가 이런 의도와 굉장히 결탁돼 있다.”면서 “노무현 대통령 때 박물관에 집어넣었어야 할 국가보안법이 아직도 살아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거창하게 말하면 (종북 논란은) 음모론에 준하는 일이고, 이런 한국 사회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수연기자 songsy@seoul.co.kr

2012-06-1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