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지지율 한자릿수로 野 대권구도 변화 분기점?

문재인 지지율 한자릿수로 野 대권구도 변화 분기점?

입력 2012-06-06 00:00
업데이트 2012-06-06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5주 11→10→9%로 김두관 상승… 대안론 탄력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대선후보 지지율이 한 자릿수로 추락했다. 반면 김두관 경남지사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탔다. ‘친노무현계의 성골’로 불리는 문 고문의 지지율 하락은 야당의 대권 구도 변화를 보여 주는 분기점이 아니냐는 해석들도 나오고 있다. 오는 9일 당대표 선거에서 친노계 이해찬 후보와 비노(非)계 김한길 후보 가운데 누가 대표가 되느냐에 따라 ‘문재인 대세론’과 ‘김두관 대안론’의 명암은 크게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문 고문은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1일까지 진행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대선 후보 지지도 9%를 기록했다.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인 25%에 크게 못 미친다. 일주일 전 여론조사보다 2% 포인트가 더 빠졌다.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전 주보다 2% 포인트 오른 39%,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3주 연속 23%대를 유지했다. 문 고문의 지지율은 4·11 총선 직전 15%에서 꾸준히 떨어져 최근 5주 동안에 11→10→9%로 변화했다. 한 자릿수 지지율은 지난 1월 초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 고문의 지지율 하락 요인은 4·11 총선에서의 부진한 성적표 등 복합적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당대표 경선 초반 등장한 ‘이해찬-박지원 연대론’을 지지한 데 대한 당 안팎의 역풍이 결정적 요인이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문제는 반등 가능성이다. 전망이 갈린다. 김두관 지사와 같은 ‘대안 세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쉽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김 지사는 매일경제-한길리서치 조사에서는 6%까지 나왔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이미 참여정부에서 검증된 세력이라는 친노계 문 고문은 변화에 대한 기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지지율 반등 기회를 잡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론도 있다. 문 고문이 아직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 않은 상태인 데다 여권의 종북 공세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친노와 야권 세력의 결집으로 이어져 문 고문에 유리한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2-06-06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