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참여-통합연대 ‘진보통합’ 임박

민노-참여-통합연대 ‘진보통합’ 임박

입력 2011-11-17 00:00
업데이트 2011-11-17 1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통합연대가 참여하는 진보정당 통합 협상이 최종 타결을 눈앞에 두고 있다.

민노당은 17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진보통합의 마지막 핵심 쟁점인 총선 지역구 후보 선출 방식에 대한 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키로 결정했다.

또 진보신당을 탈당한 노회찬 심상정 임시대표와 조승수 의원이 주도하는 통합연대는 오후 대표단회의에서 민노당의 중재안 수용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3자는 18일까지 과도기에 적용될 강령, 당헌을 포함한 합의가 최종 완료되면 공식 타결을 선언할 계획이다.

이로써 지난 1월부터 시작된 진보정당 간 통합 논의는 우여곡절 끝에 10개월 여만에 종착역을 눈앞에 두게 됐다. 다만 독자파만 남은 진보신당이 끝내 진보정당 통합에 합류하지 않아 진보통합의 빛이 다소 바랬다.

야권 대통합을 추진해온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은 우선 대통합 취지에 공감하는 정당과 정파를 중심으로 중통합 신당을 창당한 뒤 진보정당과 통합을 추진하는 단계적 통합론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진보진영의 통합정당은 각 진영 1인씩 3명의 공동대표 체제를 꾸리되 필요에 따라 1∼2인의 공동대표를 추가하고, 과도기 대의기구는 민노당 55%ㆍ참여당 30%ㆍ통합연대 15% 비율로 구성된다.

당명은 공모방식을 거쳐 3개의 복수안을 마련한 뒤 당원 전수조사와 여론조사를 절반씩 반영해 결정된다.

총선 지역구 공천 때 세력 간 후보조정이 안된 지역의 후보를 정하는 방식은 참여당의 중재안대로 통합정당 출범 후 전국운영위원회에서 논의하는 방식이 도입된다.

3자는 협상이 최종 타결되면 내달초까지 진보정당 통합에 필요한 내부 절차를 거친 뒤 12월 초순까지 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합당 전당대회를 치를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