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하루 종일 함께했더니 딸과 친밀해져”

[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하루 종일 함께했더니 딸과 친밀해져”

입력 2014-07-07 00:00
업데이트 2014-07-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육아휴직 사례2-여가부 주무관 김대선씨

김대선(35·여성가족부 주무관)씨는 간호사인 아내와 함께 딸(3)을 돌보고 회사 일과 집안일을 하느라 바쁘게 산다. 아내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에 이어 곧바로 김씨가 육아휴직을 1년간 하고 지난해 8월 복직했다. 휴직 당시 아이 키우는 일이 힘들지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몸으로 느꼈다.
이미지 확대
김대선씨가 지난 3일 퇴근 후 집에서 딸과 놀아 주고 있다.
김대선씨가 지난 3일 퇴근 후 집에서 딸과 놀아 주고 있다.


김씨는 육아휴직 당시 오전 7시쯤 일어나 밥하고 아이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8시 반쯤 딸을 깨워 씻기고 아침을 먹인 뒤 놀아 주다 간식과 점심을 먹이고 낮잠을 재운다. 그 사이에 빨래와 청소를 하고 다시 놀아 주다가 아내가 퇴근하면 함께 저녁을 먹고 놀다 아이와 같이 목욕을 한 뒤 10시쯤 아이를 재워야 일과가 끝났다.

요즘은 식사 준비를 전날 저녁에 해 놓고 7시에 일어나자마자 딸을 깨워 밥 먹이고 옷 입혀 50분쯤 집 근처 어린이집에 맡기고 출근을 한다. 딸을 어린이집에 맡기고 찾는 일은 근무조에 따라 출근 시간이 바뀌는 아내와 나눠서 한다. 유연근무제를 선택해 9시 반 출근, 6시 반 퇴근을 원칙으로 한다. 딸을 어린이집에서 데려오는 당번 날뿐 아니라 보통 때도 웬만하면 칼퇴근해서 아이와 놀아준다. 어린이집이 문을 닫는 휴일에 근무를 해야 하는 등의 비상상황이 생기면 딸을 데리고 출근해 사무실에서 아이와 놀다가 일하다가 한다.

그는 아이가 울 때 “엄마”라고 하는 게 본능인 줄 알았는데 “아빠” 하며 우는 걸 보고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도 함께 있을 때면 딸이 엄마, 아빠 구분 없이 자신에게 먼저 다가온다. 그만큼 딸과 친해진 게 육아휴직의 큰 소득이다. “맞벌이 부부가 집안일과 아이 돌봄을 함께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가족 문제를 주관하는 여가부에 근무하는 덕택에 동료에게 다소 미안하기는 해도 육아휴직을 가거나 복직해서 근무하는 데 별다른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김씨 부부는 아이를 여러 명 갖고 싶었지만 하나 키우기도 버겁고 양가 부모님이 아이를 돌봐줄 수 없는 상황이라서 요즘 최대 고민거리가 둘째를 가질지 말지다. “만일 둘째를 갖게 되면 맞벌이를 하기가 어렵다. 아이 돌보미를 이용하자니 비용도 비용이지만 모르는 사람에게 아이를 맡긴다는 게 내키지 않는다. 그래서 아이가 둘이 될 경우 부부 중 누가 직장을 그만둘 것인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의논했다.” 둘째 아이와 직장 중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김씨는 “회사에 급한 일이 생길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아이 돌보미가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아이 돌보미 육성에 좀 더 힘을 기울여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면 맞벌이 부부에게 육아란 아이와 함께하는 더욱 행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appyhome@seoul.co.kr
2014-07-07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