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우울한 명품학군 아이들] 우울증, 정신병 취급 말아야… 공동체의식 극복에 큰 효과

[커버스토리-우울한 명품학군 아이들] 우울증, 정신병 취급 말아야… 공동체의식 극복에 큰 효과

입력 2012-04-21 00:00
업데이트 2012-04-21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의 진단과 해법

전문가들은 우울증 극복 해법으로 ‘공동체 의식’을 꼽았다. 삶도 ‘내가 사는 삶’보다 ‘우리가 함께 사는 삶’으로 인식하면 비교적 쉽게 우울증을 이겨 낼 수 있다는 진단이다. 우울증 의심 환자의 치료에서 사회와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이유다.

하규섭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겸 한국자살예방협회장은 “우울증은 과거부터 있었지만 최근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아짐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다.”면서 “우울증 자체가 자신의 인생을 부정하는 행위로 나타나다 보니 환자의 20%는 자살까지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우울증 자체는 개인 문제이지만 책임은 사회가 져야 한다.”면서 “1등 지상주의를 버리고 뒤처진 사람, 이른바 루저들에 대해서도 괄시하지 말고 박수를 보내야 사회에 팽배한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 교수는 “스스로 우울하다는 사실을 맘 놓고 털어놓을 수 있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라면서 무엇보다 인식 개선을 주문했다.

우울증 환자를 마치 정신병자로 취급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국정신건강연구소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황원준 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우울증 치료를 위해 정신과 진료를 받는 환자를 향한 좋지 못한 편견은 환자가 치료를 기피하게 만들어 우울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면서 “우울증 환자를 감싸고 격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이사는 특히 직장인들의 우울증에 대해 심각한 우려감을 표시했다. 직장인들이 직무 스트레스로 우울증에 빠지면 업무 효율이 떨어져 기업에, 나아가 국가에 큰 손실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황 이사는 “심장질환을 앓는 직장인보다 우울증을 앓는 직장인들의 노동 손실률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우울증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우울증에 대한 빠른 진단과 치료의 필요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강용 한국우울증연구소장은 “우울증 초기 때 빠른 진단과 약물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지인들의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말 많던 친구가 갑자기 말이 없어졌다.’, ‘애인과 헤어지더니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친구 모임에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등 우울증 의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도움의 손길을 내밀 수 있는 것은 지인뿐이라는 얘기다.

조희선기자 hsncho@seoul.co.kr

2012-04-21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