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반도체 기업들, 삼성전자의 ‘파괴적 기술’에 회복불능 수준 궤멸당해”…일본 전문가의 탄식

“日반도체 기업들, 삼성전자의 ‘파괴적 기술’에 회복불능 수준 궤멸당해”…일본 전문가의 탄식

김태균 기자
입력 2023-05-16 15:55
업데이트 2023-05-20 0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前히타치 엔지니어 “기술도 비즈니스도 완패”
삼성의 저렴·대량 D램 생산 ‘파괴적 기술’ 지칭
“일본병의 본질은 ‘과잉기술’로 ‘과잉품질’ 생산”

이미지 확대
일본 도쿄의 도시바 본사 로고 아래에 한 남성이 지나는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일본 도쿄의 도시바 본사 로고 아래에 한 남성이 지나는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일본 반도체 산업의 몰락을 놓고 흔히 ‘기술’에서 이기고 ‘비즈니스’에서 졌다고들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기술력에서 완패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다.”

1980년대까지 전 세계를 호령했던 일본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부활을 장담할 수없는 수준으로까지 몰락한 이유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히타치제작소 연구원 출신의 전문가가 그 이유를 ‘과도한 기술력 집착에 빠져 컴퓨터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것이 결국 기술력 부족을 낳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칼럼을 경제매체에 기고했다.

히타치, 엘피다 등에서 반도체 미세 가공 기술 개발에 종사해 온 반도체산업 컨설턴트 겸 저널리스트 유노가미 다카시(62)는 15일 일본 경제주간지 프레지던트 인터넷판 기고를 통해 “일본의 D램 산업은 값싸게 대량으로 생산하는 한국의 ‘파괴적 기술’에 의해 궤멸당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
“불황에도 흔들림 없는 투자”
“불황에도 흔들림 없는 투자” 이재용(가운데) 삼성전자 회장이 17일 삼성전자 천안캠퍼스를 찾아 반도체 패키지 라인을 둘러보며 사업 전략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나는 일본이 전 세계 D램 시장을 80%까지 점유했던 1987년 히타치 제작소에 입사하며 반도체 기술자가 됐다. 하지만, 직장생활 내내 일본의 D램 시장 점유율 하락을 지켜보아야 했고, 결국 일본이 D램 부문에서 철수함과 동시에 조기퇴직 권고를 받아 퇴사하게 됐다.”

그는 일본의 D램 산업 몰락은 삼성전자에 기술에서도 패배하고 비즈니스도 패배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메모리 반도체가 강세를 보였던 1980년대 일본 기업이 생산한 D램은 주로 메인프레임(범용 대형 컴퓨터 시스템)용으로 사용됐다. 당시 (IBM 등) 메인프레임 제조회사들은 ‘고장 나지 않는 D램’을 강조하며 ‘25년 장기 품질보증’을 요구했다. 놀랍게도 일본 D램 제조사들은 정말로 25년간 고장 나지 않는 초고품질 D램을 만들어냈다. 그걸로 세계를 석권하고 1980년 중반에는 세계 시장의 80%를 차지할 수 있었다. 그야말로 기술의 승리였다.”
파나소닉 홈페이지
파나소닉 홈페이지
하지만 1990년대 들어 컴퓨터 업계에 커다란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 메인프레임 시대가 막을 내리고 개인용 컴퓨터(PC) 시대가 찾아온 것이었다. PC 출하량 증가와 함께 한국 삼성전자가 D램 점유율을 급격히 늘려갔다.

유노가미는 “당시 삼성은 ‘PC용 D램은 수명이 25년까지 필요 없다. 5년만 버티면 된다’는 전략이었다. PC용 D램은 내구성보다는 저렴한 가격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다”고 술회했다.

삼성전자는 엄청나게 많은 PC 생산량에 맞춰 D램을 값싸게 대량생산 하는 데 성공하면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당시 히타치를 비롯한 일본의 D램 제조사들 역시 PC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이 급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D램 업체들은 이전처럼 25년 동안 망가지지 않는 초고품질 제품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그 결과 삼성전자의 값싸게 대량생산 하는 파괴적 기술에 궤멸당하고 말았다.”
이미지 확대
D램 반도체
D램 반도체 D램 반도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유노가미는 “일본의 D램 패배에 대해 ‘기술에서 이기고 비즈니스에서 졌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틀린 말”이라면서 “일본은 한국에 기술적으로도 비즈니스적으로도 완패한 것이며, 좀 더 정확히는 기술에서 진 측면이 더 크다”고 했다.

“간단히 말해 미세공정의 횟수를 나타내는 마스크 개수를 보면 기술력을 알 수 있다. 일본이 철수하기 직전의 64메가 D램의 마스크 개수는 히타치가 29장, 도시바는 28장, NEC는 26장이었다. 반면 한국 업체는 20장 정도에 불과했다. 미국 마이크론은 일본의 절반 정도인 15장으로 PC용 D램을 만들어냈다.”

그는 “당연히 마스크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공정의 수가 늘어나고, 값비싼 미세공정 장비도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 장비의 원가가 높아져 이익이 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일본 D램 업체들은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고, 결국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명백히 기술의 패배인 것이다.”
이미지 확대
대만 신주의 TSMC 본사. 신주 AP 뉴시스
대만 신주의 TSMC 본사. 신주 AP 뉴시스
유노가미는 “삼성전자는 PC용으로 적합한 수준의 D램을 저렴하게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반대로 초고품질로 세계 1위가 된 일본은 자신을 변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품질에 대한 믿음이 더 떨어지는 삼성전자 D램에 밀려나고 말았다.”

그는 “일본병의 본질은 과잉기술로 과잉품질을 만들어내는 데 있었다”고 진단했다. 시대가 변하고 있는데도 과거 성공 경험을 끌어안고서 ‘지금도 우리 기술이 세계 최고’라는 자만심에 빠져 있었던 게 문제였다는 것이다.
김태균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