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일연 작가, 한국계 첫 도서 부문 퓰리처상

우일연 작가, 한국계 첫 도서 부문 퓰리처상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5-08 03:23
업데이트 2024-05-08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소설 작품 ‘노예 주인 남편 아내’
美노예제 때 흑인 탈출 실화 다뤄
부친은 환기미술관 설계한 건축가

작년 NYT·타임 ‘올해의 책 10’에
“연구·스토리텔링·통찰력 뛰어나”

이미지 확대
한국계 미국인 작가 우일연이 올해 퓰리처상 전기 부문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저널리즘 부문에서 한국계 인사들이 퓰리처상을 받은 적은 있지만 비저널리즘 부문에서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일연 작가 홈페이지
한국계 미국인 작가 우일연이 올해 퓰리처상 전기 부문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저널리즘 부문에서 한국계 인사들이 퓰리처상을 받은 적은 있지만 비저널리즘 부문에서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일연 작가 홈페이지
한국계 미국인 작가가 논픽션 책으로 올해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퓰리처상 도서 부문에서 한국계 작가가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퓰리처상 선정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노예 주인 남편 아내’(Master Slave Husband Wife)의 작가 우일연씨를 전기 부문 공동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전기 부문에는 마틴 루터 킹의 이야기를 다룬 ‘킹: 어 라이프’(King: A Life)를 쓴 저널리스트 조나단 에이그도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앞서 강형원, 댄 노, 최상훈, 이장욱, 존 킴, 김경훈 등 한국계 인사들이 저널리즘 부문에서 퓰리처상을 수상한 적이 있지만 비저널리즘 분야에서 한국계 인사가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눈길을 끈다.

우일연 작가는 미국 국적의 한인 2세로 예일대에서 인문학 학사학위를 받은 뒤 컬럼비아대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 작가의 부친은 환기미술관, 88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하버드대 대학원 기숙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을 설계한 재미 건축가 우규승씨다.
이미지 확대
이번 퓰리처상 수상작인 우 작가의 ‘노예 주인 남편 아내’(Master Slave Husband Wife) 표지. 우일연 작가 홈페이지
이번 퓰리처상 수상작인 우 작가의 ‘노예 주인 남편 아내’(Master Slave Husband Wife) 표지.
우일연 작가 홈페이지
‘노예 주인 남편 아내’는 1848년 노예제도가 있었던 미 남부 조지아주에서 농장주와 노예로 변장해 북부 지역으로 탈출을 감행했던 노예 윌리엄·엘렌 크래프트 부부의 실화를 다룬 작품이다. 아내인 엘렌은 병약하고 젊은 농장주로, 남편인 윌리엄은 엘렌의 노예로 각각 변장한 뒤 증기선, 마차, 기차를 갈아타고 노예 상인과 군인들의 눈을 피해 노예제가 폐지된 북부까지 이동했다. 엘렌의 어머니는 흑인 노예였고, 아버지는 백인 주인이었기 때문에 엘렌의 피부색은 백인으로 오해할 정도로 밝았다고 알려져 있다.

탈출에 성공한 크래프트 부부는 이후 영국으로 건너가 노예제 폐지 연설을 하고 자신들의 이야기에 관한 책을 집필해 유명해졌다.

우 작가의 ‘노예 주인 남편 아내’는 지난해 말 뉴욕타임스(NYT)의 ‘올해의 책 10선’, 타임지의 ‘올해의 책 톱 10’으로 선정되면서 이미 주목받았다. NYT는 당시 “소설적 디테일로 몰입도를 높이며 연구, 스토리텔링, 공감, 통찰력 부문에서 모두 뛰어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헝가리 출신 미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의 유언으로 만들어진 퓰리처상은 올해 108회를 맞는 유서 깊은 상이다. 뉴스와 평론, 보도사진, 삽화 등 언론 부문과 픽션, 논픽션 등 도서, 드라마, 음악 등 예술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한다. 공공 부문 수상자는 황금 메달을 받고, 다른 수상자들은 각각 1만 5000달러(약 2040만원)의 상금을 받는다.
유용하 기자
2024-05-08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