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후손들이 자주 찾을 수 있는 곳이 최고 명당”

“후손들이 자주 찾을 수 있는 곳이 최고 명당”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4-04-17 02:10
업데이트 2024-04-17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년째 ‘파묘꾼’의 삶 김정태씨

“공원묘지·봉안당 요즘 시대 맞아
묫바람 무서워… 영화 ‘파묘’ 공감
악몽 꿔 파 보니 쇠꼬챙이 있기도”


이미지 확대
24년 차 ‘파묘꾼’ 김정태씨
24년 차 ‘파묘꾼’ 김정태씨
“일을 하다 보면 미신 아닌 미신을 믿게 됩니다. 조상의 묘에 탈이 나 후손에 해가 미친다는 ‘묫바람’이라는 게 사실 무섭거든요.”

사람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묘를 옮기거나 고쳐 묻을 때 그를 찾는다. 군 전역 후 장례식장에서 일하다 일찌감치 파묘꾼의 삶을 살게 된 그의 모습은 관객 1000만명을 훌쩍 뛰어넘어 ‘n차 관람’ 붐을 이어 가는 영화 ‘파묘’ 속 ‘영근’(유해진 분)의 모습과 비슷했다. 24년 차 ‘파묘꾼’ 김정태(45)씨의 얘기다. 영화가 개봉하자마자 극장에서 관람했다는 그는 1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공포물이라서 과하게 연출한 부분이 있지만 공감이 많이 갔다”고 말했다.

20여년째 파묘 일을 하다 보니 영화만큼 오싹한 일을 겪기도 한다. 그는 “7~8년 전 자꾸 아버지 묘지에 누군가 해코지하는 꿈을 꾼다는 무당에게 묘지를 열어 봐 달라는 의뢰를 받은 적이 있다”면서 “파묘를 해 보니 도굴꾼들이 쓰는 긴 탐침봉 같은 쇠꼬챙이 여러 개가 박혀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고성 공동묘지에서 작업을 하다가 할아버지 귀신과 대화를 한 적도 있다”고 전했다.

숱한 경험이 쌓이면서 터득한 ‘동티’(땅, 돌, 나무 따위를 잘못 건드려 지신(地神)을 화나게 해 재앙을 받는 일) 예방법도 다양했다. 김씨는 “안 좋은 기운을 느낄 때마다 묘에 팥이나 소금을 뿌린다. 관을 꺼낸 뒤 명태를 넣거나 불을 지르고 덮어 버리는 등 일하면서 배운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영화와 현실이 다른 부분도 있다고 했다. 영화에서 풍수사 ‘상덕’(최민식 분)이 사용료 명목으로 100원짜리 3개를 묘에 던지는 장면에 대해 “작업자마다 다른데 노잣돈 하라며 10원짜리를 던지는 사람도 있고 쌀을 던지는 사람도 있다. 영화에선 (화면에) 잘 보이게 하려고 100원짜리를 던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이 일상으로 들어온 시대에 명당은 어떤 의미일까. 그는 “후손들이 자주 찾아갈 수 있는 곳이 최고”라고 강조했다. 이어 “위치 좋은 선산에 묘를 써도 1년에 한두 번 찾아가면 칡넝쿨이 우거져 여름엔 진입하기도 힘들다”면서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 주는 공원묘지나 봉안당(납골당)이 오히려 요즘 시대에 맞는 명당”이라고 밝혔다. 매장 문화가 사라져 가면서 묘를 팔 일이 드물지 않냐는 질문에는 “수목장이나 평장(봉분을 만들지 않는 매장)을 많이 한다. 묘를 관리하기가 힘들어지니 파묘 후 화장을 해서 다른 곳에 모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언젠가부터 즐겨 하던 낚시를 그만뒀다고 했다. 이유를 묻자 “살생 아닙니까”란 답이 돌아왔다. 작업 전날과 당일에는 고기도 먹지 않는다고 했다. “내가 깨끗한 육체와 생각을 갖지 않으면 (의뢰를 한) 집안 후손들이 잘 풀릴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남이 알아주지는 않지만 나만의 철학 같은 겁니다(웃음).”
한지은 기자
2024-04-1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