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한국 망했네요”…올해 1∼3분기 출생아 역대 최저

“와 한국 망했네요”…올해 1∼3분기 출생아 역대 최저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12-08 08:20
업데이트 2023-12-08 1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1∼3분기 출생아 17만 7000명
3분기 합계출산율도 0.70명으로 감소


이미지 확대
EBS ‘인구대기획-초저출생’ 방송화면 캡처
EBS ‘인구대기획-초저출생’ 방송화면 캡처
올해 들어 3분기까지 태어난 아기가 17만명대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저출생에 날로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누적 출생아 수는 17만 7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이다.

1∼3분기 기준 출생아 수는 1981년 65만 7000명을 기록했지만, 이후 급감해 2002년에 30만명대로 진입한 뒤 2017년에는 27만 8000명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19만 3000명으로 10만명대로 내려앉았고 올해는 이보다 1만 6000명 줄어든 수준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해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0명으로 1년 전보다 0.10명 줄어들었다.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가 줄어드는 흐름을 고려하면 올해 4분기에는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내년은 통계청이 전망한 합계출산율 저점의 해다.

통계청은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합계출산율(중위 시나리오)이 2024년 최저 수준인 0.70명까지 떨어진 후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31년 1.0명, 2046년에는 1.21명까지 회복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러나 통계청이 내놓은 저점은 추계 때마다 뒤로 늦춰져 왔다. 조만간 통계청이 다시 내놓을 추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이 저점이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은 2016년 추계 당시에는 합계출산율이 2016년 1.18명으로 바닥을 찍고 이후 1.38명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3년 뒤인 2019년 추계에는 2021년 0.86명을 저점으로 예상했고, 2년 뒤인 2021년 추계에서는 저점이 또다시 2024년으로 바뀌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이 저점 이후 반등해 상승하는 것으로 매 추계에서 전망했으나 2015년 이후 합계출산율 실적은 전망치를 하회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호트(공통된 특징을 가진 연령 집단) 추계를 하는 대부분의 나라가 합계출산율이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모형”이라고 말했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