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소록도 천사’ 마가렛 간호사 오스트리아서 선종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10-01 09:27 사회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향년 88세, 병원서 수술 중 급성 심장마비로 사망

2017년 9월 오스트리아에서 마가렛 간호사가 김연준 신부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2017년 9월 오스트리아에서 마가렛 간호사가 김연준 신부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록도에서 40여 년간 봉사했던 ‘소록도 천사’ 마가렛 피사렉 씨가 향년 88세로 선종했다.

1일 천주교광주대교구 김연준 신부에 따르면 마가렛 간호사는 지난 29일 오후 3시 15분(현지시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의 한 병원에서 급성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했다.

마가렛 씨는 최근 넘어져서 대퇴부가 골절돼 수술받던 중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폴란드 태생의 오스트리아 국적자인 마가렛 씨는 인스브루크 간호학교를 졸업한 뒤 구호단체 다미안재단을 통해 전남 고흥군 소록도에 파견됐다.

마가렛 씨는 공식 파견 기간이 끝난 후에도 연고 없는 소록도에 남아 자원봉사자 신분으로 한센인들을 돌봤다.

이후 건강이 악화하자 2005년 11월 ‘사람들에게 부담이 되고 싶지 않다’는 내용의 편지를 남기고 오스트리아로 귀국했다.

1962년부터 2005년까지 소록도에서 함께 봉사한 마리안느 스퇴거(89) 간호사도 함께 조국으로 돌아갔다.

한국 정부는 오랜 세월 보수 한 푼도 받지 않고 한센인들의 간호와 복지 향상에 헌신한 공을 기려 마가렛 씨와 마리안느 씨에게 1972년 국민훈장, 1983년 대통령표창, 1996년 국민훈장 모란장 등을 수여했다.

소록도 주민들은 마가렛 씨와 마리안느 씨가 한국을 떠난 후에도 선행을 기렸으며 국립소록도병원은 이들이 살던 집을 ‘마리안느 스퇴거와 마가렛 피사렉의 집’으로 이름 붙였다.

국립소록도병원은 2016년 개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이들에 대한 노벨 평화상 후보 추천과 방한을 추진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마리안느 씨만 소록도에 올 수 있었다.

당시 소록도성당 주임 신부였던 김연준 신부가 ‘사단법인 마리안느와 마가렛’을 설립하고 다큐멘터리 영화 ‘마리안느와 마가렛’(윤세영 감독) 제작과 노벨 평화상 후보 추천을 함께 추진했다.

김연준 신부는 “사단법인 마리안느와 마가렛 이사진이 명절 인사를 위해 오스트리아를 방문했다가 마가렛의 부음을 접했다”며 “고인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도 사회를 위해 시신을 대학에 해부용으로 기증하겠다고 해서 장례 절차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미애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