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갈 때보다 돌아올 때가 훨씬 힘들지만 공릉천 하구 둑방의 나무가 사라지고 시멘트가 깔린 뒤로는 더 심하다. 몇 년 전 자전거도로 끝의 자연보호구역 흙길을 달리며 저어새를 만날 때는 지금보다 힘들지 않았다. 길은 더 울퉁불퉁했지만 나무 그늘도 있었다. 새소리도 더 많이 들렸다. 갈대밭의 야생동물을 상상하면 울퉁불퉁한 길도 그저 재미있었다.
그런데 그 자연보호구역이 무색해졌다. 개천가 나무를 베고 길을 편평하게 만들더니 시멘트 포장을 하기 시작했다. 주변 논도 몇 개 메웠다. 그러고는 둑방 아래로 폭이 2m가 넘고 깊이가 3m쯤 되는 거대한 콘트리트 구조물도 만들었는데 농사에 쓸 물을 담고 옮길 목적이 아니니 농수로라고 할 수 없다. 거기 떨어지면 살지 못한다. 고라니도, 개구리도, 사람도. 그저 생명 살상용 함정이다. 매번 새를 보러 가면서 날로 황량해지는 공릉천 하구의 풍경을 보면 서글퍼진다. 거대한 살상용 함정을 볼 때마다 화가 치민다. 한국의 3대 탐조 명소라면 나는 천수만 일대의 농경지, 시화호·화성호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 그리고 공릉천 하구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를 들겠다. 그중에서도 여차하면 자전거로 달려갈 수 있는 공릉천 하구 일대가 나에게는 가장 정이 가는 곳이다.
올해는 공릉천 하구와 주변이 내셔널트러스트라는 단체에서 지정하는 ‘이곳만은 꼭 지키자’에 선정됐다. 다행이다. 그러나 다행이라는 말로는 다할 수 없는 서글픔이 밀려온다. 사라질 위험에 처한 자연유산이나 문화유산에 대해 지정하는 것이라 위험하다는 뜻이니까. 내 보물, 나의 공릉천이.
며칠 뒤 새 벗들과 공릉천 하구에 또 갔다. 논두렁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다가 이번에는 한국뜸부기를 봤다. 이름은 한국뜸부기지만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가 아니다. 국제적으로도 준위협종으로 지정된, 수가 줄고 있는 새다. 그런 새를 아직 공릉천 인근 농경지에서 볼 수 있다. 꼭 지켜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