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3사 순익 늘었지만…건전성 지표는 악화

인터넷은행 3사 순익 늘었지만…건전성 지표는 악화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입력 2023-09-01 16:51
업데이트 2023-09-02 14: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뱅크 판교 본사 내부 모습. 카카오뱅크 제공
카카오뱅크 판교 본사 내부 모습. 카카오뱅크 제공
인터넷은행 3개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상반기 실적은 크게 개선됐지만 연체율은 높아지는 등 건전성 우려는 커지고 있다.

2일 각 사 경영공시에 따르면 3개 사의 상반기 순이익은 170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 452억원과 비교해 약 3.8배 늘어난 수치이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상반기 1838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주택담보대출 성장 덕이 컸다. 올해 2분기 기준 주담대 잔액은 약 5조 5000억원으로 지난 1분기 대비 3조원이나 늘었다. 2분기 신규 취급액은 약 3조 5000억원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2분기에 지난 1분기(104억원) 대비 41.4% 증가한 14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아파트담보대출을 확대하며 2분기 동안 약 9000억원의 신규 대출을 새로 취급한 탓으로 분석된다.

토스뱅크는 올해 상반기 순손실이 3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적자 1243억원에 비해 규모는 줄었다. 올해 2분기에도 104억원의 순손실을 냈지만 지난달 처음으로 월간 흑자를 달성하며 3분기에는 흑자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졌다.

부실채권의 비율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3사 모두 상승
실적은 올랐지만 연체율도 상승해 건전성지표는 악화됐다.

카카오뱅크의 2분기 연체율은 0.52%로 지난해 같은 기간(0.33%) 대비 0.1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도 0.52%에서 0.86%로 올랐다. 토스뱅크 또한 1.56%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1%나 올랐다.

연체가 3개월이 넘은 부실채권의 비율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늘어났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6월 말 NPL비율은 0.42%로 지난해 같은 달(0.27%)보다 0.15% 올랐고 케이뱅크도 0.98%로 0.38% 올랐다. 토스뱅크는 1.26%로 1.13%로 크게 상승했다.

이에 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대손충당금은 상반기 기준 383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945억원) 대비 1886억원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 악화에도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이라는 설립 취지에 맞게 관련 대출을 늘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연말까지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대출 비중은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 토스뱅크 38.5%로 목표치에는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에 대처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신용평가모델(CSS)을 고도화하고 있다”며 “대손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를 위해서도 노력 중이다”라고 말했다.
유규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